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CV





최형욱  Heonguk Choi_
KINGWORK STUDIO  

시각예술, 설치미술, 빈둥플레이디렉터


시각예술가로 활동하면서 공공예술과 예술교육프로젝트를 기획운영해왔습니다장소성과 피난처 개념에 관심을 가지고 작업을 해왔습니다특히 난민으로서 어린이를 공공공간에서 어떻게 환대할 있을까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동료 예술가들과 함께 빈둥플레이 협동조합을 운영하며 한국적 맥락에서 어린이 스스로 만드는 실험놀이터 만들기 프로젝트를 진행 하고 있습니다


2024-26 암스테르담 Rijksakademie van beeldende kunsten 입주작가, 2019 김종영미술관 Young Creative Artist 개인전, 2016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레지던시 입주예술가, 2014 핀란드스턴다스 뮤지엄 입주예술가 



@heonguk_choi

@bindoongplay

www.heongukchoi.blogspot.com



#킹워크스튜디오#최형욱작가#시각예술가#비주얼아티스트#예술교육활동가#커뮤티디자인#공공예술프로젝트#목수#놀이터디자인#서울예술교육센터#teaching artist#빈둥플레이#bindoongplay

While working as a visual artist, I have planned and operated public art and art education projects. I've been working on the installation with an interest in the concept of place and shelter. In particular, with a sense of how to welcome children as refugees in the public, we are working with fellow artists to create an artist cooperative team called Bindoong Play and work on an experimental playground that children can make themselves in a Korean context.

I am 2024-26 Resident Artist, Rijksakademie van beeldende kunsten in the Amsterdam. I worked as an artist in the 2019 Kim Jong-young Museum of Art's Young Creative Artist individual exhibition, the 2016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oyang Residency artist, and the 2014 Sturndas Museum residency in Finland. 

#KingworkStudio #Artist Choi Heong uk#VisualArtist #ArtEducationActivist #CommunityDesign #PublicArtProject #Carpenter#PlaygroundDesign#Seoul ArtsEducation Center #teaching-artist #bindongplay


개인전
2019 빈둥 ver.2.0, 김종영미술관, 서울
2019 빈둥 ver.1.0, 미스테이크뮤지엄, 청평
2013 여섯 개의 도피성, 스피돔 갤러리, 광명
2012 내 아이를 위한 굴라크, 가든파이브, 서울
2012 조금 쓰잘데기 없는 연구, 카페 드 유중, 서울


단체전
2021 플로팅아일랜드 프로젝트, 양평에코뮤지엄 오픈스튜디오, 양평어울림센터
2020 서울공공미술 '100개의 아이디어' 온라인전시  
2020 공간실험(2인전), 양평군립미술관, 양평 
2018 빠른발 따라가는 시선-서울 상상력 발전소 : 컨비발리티 성수, 에스팩토리, 서울
2018 쌀의 독백 : 일시적 식구, 경기상상캠퍼스, 수원
2017 저스트 두잇 유어셀프, 갤러리 175, 서울
2017 00의 기억, 신한갤러리역삼, 서울
2017 출구전략, 스페이스 M, 서울
2016 오픈스튜디오12,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레지던시, 고양
2015 제작자들의 도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4 교감, 삼성미술관 리움 10주년기념전, 서울
2013 See: Saw, 세줄 갤러리, 서울
2013 창동여지도, 창동창작스튜디오, 서울
2013 Portfolio Archive Lounge, 사비나미술관, 서울
2013 지속가능한 어린이 예술가구 드로잉, 홍성찬갤러리, 파주
2012 Korea Christian Art Feast , 밀알미술관, 서울
2012 123 프로젝트, 경기창작센터, 안산
2012 줄넘기 전, 경기대학교 예술학과 기획전시, 호연갤러리, 수원
2012 신진작가 공모전, 갤러리 에이큐브, 서울
2012 New thinking New art 2012, 리서울갤러리, 서울
2011 봉필프로젝트, 봉화재래시장상가 #294-18, 봉화
2011 진경의 맥, 포항시립미술관, 포항
2011 봉화장 Art Stay, 시장문화의집, 봉화
2010 사통팔달, 박수근미술관 창작스튜디오, 양구
2009 울트라 마니아, 안양롯데갤러리, 안양
2009 너와 내가 있는 자리, 제비울미술관, 과천
2008 Bus Transfer, 402, 360번 버스, 서울

학력
2009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전공 졸업
2006 국민대학교 예술대학 회화과 졸업


레지던시 프로그램
2024-26 라익스아카데미, 암스테르담 
2016 고양레지던시, 국립현대미술관, 경기
2014 아뜰리에 스턴다스, 솔프, 핀란드
2013 창동창작스튜디오, 국립현대미술관, 인사이트씨잉 팀프로젝트, 서울
2011 문전성시 프로젝트 들락날락 봉화장 입주작가, 문화체육관광부, 봉화


공공 프로젝트

2024 폼폼파빌리온, 동대문문화재단 답십리미디어아트센터

2023 동물친구 쉽터 만들기, 찾아가는 문화예술학교, 양평문화재단
2023 양강해적단 프로젝트, 아르코작은미술관, 양평생활문화센터, 양평
2022-23 빈둥프로젝트: 자율과 환대의 실험, 아르코 공공예술지원사업, 양평
2022 임시공유일 놀이프로젝트, 양평문화재단, 양평
2022 지역아동센터연합회 아동학대예방의 날 축제 놀이프로그램 운영, 양평생활문화센터, 양평
2022 아빠 찾아 삼만리 프로젝트, 시민예술대학, 서울문화재단
2021 아빵가르드: 두 명의 예술가와 네명의 아버지의 대화, 관악어린이창작놀이터, 서울
2021 PLAY 강북 : 온 집안이 플레이그라운드, 강북문화재단 비대면 프로그램
2020 빈둥프로젝트 : 놀이둥지 뿌리내리기, 양평
2020 '아버집: 함께 노는집' 예술로부모플러스, 서서울예술교육센터, 서울
2019 빈둥프로젝트 : 함께 틔우는 놀이터, 양평
2018-2020 '아버집' 부모 예술로플러스, 관악어린이 창작놀이터, 서울
2015 막계삼각뿔, 막계페스티벌,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5 Fecit: 성수동프로젝트,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4 아트두부 프로젝트, 스턴다스뮤지엄, 핀란드
2014 잇!태원 : 감각의지도 프로젝트, 삼성리움미술관, 서울
2013 창동여지도 프로젝트, 창동창작스튜디오, 서울
2012 선감도 프로젝트, 경기창작센터, 안산
2011 문전성시 프로젝트 들락날락 봉화장 전등갓 페스티발, 문화체육관광부, 봉화
2011 빛의 터널 프로젝트, 청량문화제, 봉화


교육경력 및 예술교육 프로젝트
2024 금천구 시흥도서관 '시가 있는 예술가의 방' 특강 
2024 단국대학교 문화예술사 과정 특강
2024 홍익대학교 대학원 조소과 특강
2023 서울문화재단 서울예술교육센터 아트포틴 Teaching Artist
2023 가평중학교 문화예술수업
2022 서울문화재단 어린이 통합예술교육 Teaching Artist 
2019-2022 사단법인 우리들학교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미술강사 

2021 충남사회혁신센터 친환경 교육 콘텐츠 개발사업

2021 옥천면 청소년방과 후 아카데미, 플레이 그라운드 프로젝트 수업 

2019 화성시 다원이음터 ‘시민학교 아버집 프로그램 기획운영  

2018 서울특별시교육청 제2서울창의예술교육센터 예술강사

2018 가천대학교 미술대학 작가특강

2017 국민대학교 미술대학 작가특강, 인사이트씨잉

2017 별오름극장 여름방학 예술학교 기획, 국립극장, 서울

2017 장애인예술재단, 예술창작론강의, 이음센터

2015-2020 서울문화재단 Teaching Artist (어린이, 청소년)

2015 호기심 예술학교 공동연출 “깜깜상자와 밤의 아지트”, 시청 바스락홀, 서울 

2015 달진시각예술자료 박물관, 세검정 맵핑 프로젝트 멘토링 강의 (인사이트씨잉)

2015 삼성미술관 리움 아트클라스 강연 "장소에서 사람으로 향하는 미술" (인사이트씨잉)

2013-2020 신촌 세브란스 병원 KT 꿈품교실 “예술로 놀이터” 주강사

2013 예술가와 함께하는 예술놀이터, 국립현대미술관 창동창작스튜디오, 서울

2011 문전성시 프로젝트 봉화시장 시민교육 및 프로젝트 프로그래머, 문화체육관광부, 경북 봉화



수상 및 지원금
2024 아르코국제교류기금
2023 공동체 거점형 문화예술교류 지원금, 경기문화재단

2022 아르코 공공예술지원 사업,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1 아르코 청년예술가 전시사전연구지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20 서울공공미술 본선, 서울 
2020 예술인조합 공공예술지원사업 기금, 경기문화재단, 경기도 
2019 보이는 마을 사업 기금, 경기문화재단, 경기도
2019 예술작품지원 기금, 서울문화재단, 서울
2019 김종영미술관 Young creative artist 선정, 서울
2018 액티브시티즌 공공 프로젝트 기금, 경기문화재단, 영국문화원, 경기도
2017 최초예술지원, 사전연구기금, 서울문화재단 서교예술센터
2013 아르코 공공예술 기획안 우수상,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서울
2012 아르코 퍼블릭아트 오픈콜 오디션 선정, 한국문화예술위원회

email: kingworkchoi@hotmail.com
https://brunch.co.kr/@kingworkstudio
https://instagram.com/heonguk_choi
https://bindoongplay.com



Curriculum Vitae

Choi, Heong-uk | Artist, BindoongPlay Director


Solo exhibition
2019 Bindoong ver.2.0, Kim,chongyoung Museum, Seoul
2019 Bindoong ver.1.0, Mistakemuseum, Cheongpyeong
2013 Six cities for refuge, Speedom Gallery, Gwang myoung
2012 A gulag for my kids, Garden Five Gallery, Seoul Cultural Foundation, Seoul
2012 A little trashy study, Cafe de U Jung, Seoul


Group exhibition

2024 Formform Pavillon, Dapsiplee Media Art Center, Dongdaemoon Cultural Foundation, 

2021 Floating Island, Yangpyeong EcoMuseum Open studio, Yangpyeong Cultural Center
2020 Seoul public art idea 100, Seoul
2020 Space experiment, Yangpyeong museum, Yangpyeong
2018 Seoul Imaginative power plant, S-factory, Seoul
2018 Monologe of rice : Temporary mouth to feed, Gyeonggi Sangsang Campus, Suwon
2017 Just do it yourself, Gallery 175, Seoul
2017 Memory of 00, Shinhan gallery, Seoul
2017 Exit strategy, Space M, Seoul
2016 Open studio 12, Gyang residency, Goyang
2015 Objectology II Mak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eay Art, Korea, Gwacheon
2014 Beyond and Between, The Leeum Samsung Museum of Art, Seoul
2013 See: Saw, Gallery Sejul , Seoul
2013 Chang Dong Yeo Ji Do, The National Art Studio Changdong , Seoul
2013 Portfolio Archive Lounge,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2013 Sustainable children art furniture drawings, Hong Sung chan Gallery, Paju
2012 Korea Christian art feast , Milal Museum, Seoul
2012 123 Project, Gyeonggi Creation Center, Ansan
2012 Jul Num GI, Gyeonggi Univ. Hoyeon Gallery, Suwon
2012 Young artist exhibition, Gallery a cube, Seoul
2012 New thingking New art 2012, Leeseoul Gallery, Seoul
2011 Bong Feel Projet Art show, Store # 394-18, Bongwha
2011 A stream of real landscapes, Pohang metropolitan museum, Pohang
2011 Exhibition of artists in Bonghwa, Folk market Cultural center, Bonghwa
2010 Sa Tong Pal Dal, Park Sookeun Museum, Yanggu
2009 Ultra Mania, Anyang Lotte gallery, Anyang
2009 A Space of you and me, Jebiwool Museum, Gwacheon
2008 Bus Transfer, Seoul Bus # 402, 360, Seoul

Educational
2009 M.F.A in painting, Kookmin Univ. Seoul, Korea
2006 B.F.A in painting, Kookmin Univ. Seoul, Korea

Residency Program

2024-26 Resident Artist, Rijksakademie van beeldende kunsten

2016 MMCA Goyang Studion, Geonggi, Korea
2014 Atelje Stundars, Solf, Finland
2013 The National Art Studio, Changdong, Insightseeing Team Project, Seoul
2011 Bonghwa Traditional market Art stay Program, Moon-Jeon-Sung-Si project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f Korea,
Bonghwa, Korea  


Projects

2023 YangGang Pirate Project, Arko Small Art Museum, Yangpyeong  Cultural foundation Center, 
2023 Bindoong project : A experiment for autonomy and hospitality, ARKO Public Art fund,
2022 Bindoong project : A experiment for autonomy and hospitality, ARKO Public Art fund, Yangpyeong 
2022 Temporary shared day, Yangpyeong cultural art foundation, Yangpyeong
2022 Child abuse prevention Day play festival, Association of local children's Center
2022 Finding PaPa project, Seoul citizen Art school, Seoul cultural foundation
2021 Appanguard : a conversation between two artist and four father
2021 Play Gangbuk : Playground for the whole house, Ganbuk cultural foundation.

2020 Bindoong Play : co-planted project, Yangpyeong

2020 Father's Art school "Farther home project, Seoseoul Art Edu Center, Seoul

2019 Bindoong Play : co-budding playground, Yangpyeong

2018-2020 Father's Art school, art education program programming, Gwan-ak childran creation playground center, Seoul

2017 Summer artschool, National Theater, Seoul

2015 Art educational participatory theater co-production, Seoul city hall theater

2015 Makgye trigonal pyramid, Makgye festival,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eay Art, Gwacheon

2015 Fecit : Seongsu-dong Project,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eay Art, Korea, Gwacheon

2014 Art Tofu Project, Stundars Museum, Solf, Finland2014 It!Taewon : The Geography of sense Project, The Leeum Samsung Museum of Art, Seoul, Korea.

2013 Chang Dong Yeo Ji Do Project, The National Art Studio Changdong, Seoul, Korea

2012 123 Projects, Sun Gam Do Project, Gyeonggi Creation Center, Ansan, Korea

2011 Lantern Festival, Moon-Jeon-Sung-Si project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f Korea, At Bonghwa traditional market, Korea

2011 A Tunnel of Lantern Project, Chungryang Cultural Festival, Bonghwa, Korea



Awards & Fund, Etc.

2024 ARKO International Exchange Fund

2023 Community-based Arts and Culture activating Fund,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2022 ARKO Public Art fund, Art Council Korea

2021 ARKO Reasech fund, Art Council Korea

2020 Seoul Public Art Idea Advanced to the finals, Seoul

2019 Public fund for Visible community project, Gyeonggi Cultural Council, Gyeonggido

2019 Artist support fund, Seoul Foundation for Art and Culture, Seoul

2019 Young creative artist, Kimchongyoung Museum, Seoul

2018 Active citizen public project fund, Gyeonggi Cultural Council, Britich Council, Gyeonggido 

2017 Artist research fund,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2013 Excellence Award, Community art Idea proposal, Art Council Korea

2012 ARCO public art open call, Art Council Korea



email: kingworkchoi@hotmail.com
https://brunch.co.kr/@kingworkstudio
https://instagram.com/heonguk_choi
https://bindoongplay.com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1 - 2024 샘이깊은 집 프로젝트 A House being deep in the spring : Self Constructing housing

샘이 깊은 집 프로젝트 2021-2024 A House being deep in the spring  : self construction housing 2021-2024 대부분의 예술가들에게 자신만의 작업 공간을 가지는 것은 꿈입니다. 저 역시 오랫동안 이 꿈을 품어왔고, 작업과 생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였습니다. 저는 자유롭게 실험하고 창작할 수 있는 전용 공간을 원했습니다. 또한, 아이들이 자라면서 집에 더 많은 공간이 필요해졌고, 아내는 단기 임대나 에어비앤비 운영을 위한 추가 공간을 원했습니다. 이는 그녀가 오래전부터 하고 싶었던 일이기도 했고, 부족한 수입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예산 문제는 항상 현실적인 장애물이었습니다. 부족한 재정을 해결하기 위해 저는 어려운 결정을 내려야 했습니다. 예술가가 아닌 전혀 다른 직업을 선택하여 큰 돈을 모으든지, 아니면 직접 몸을 써서 해결하든지 말입니다. 어떤 사람이 쇼핑을 이렇게 정의한 적이 있습니다. '스트레스와 노동을 감내한 대가로 돈을 받고, 그 돈으로 필요한 물건을 교환하는 행위.' 그렇다면 인생에서 가장 큰 쇼핑은 바로 '집'이 아닐까요? 많은 사람들이 인생을 담보로 대출을 얻고, 집을 마련하기 위해 끝없이 노동하고 있습니다. 저 또한 이 현실을 되돌아보며 고민했습니다. 그렇다면 조금 더 전향적인 사고방식을 가져보면 어떨까 생각했습니다. 어차피 돈을 벌기 위해 스트레스를 감수하고, 그 돈으로 집을 살 계획이라면, 차라리 그 스트레스와 노동을 직접 집을 짓는 데 투입하면 어떨까 라고요.  우리 조상들은 전쟁 이후 폐허 속에서 벽돌과 모래를 직접 나르며 집을 짓고 삶을 재건하지 않았습니까? 돈을 많이 벌거나 대출 자격을 갖추면 전문 시공사에 맡길수 있습니다. 그러나 결국 스트레스와 어려움은 피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차라리 건축을 배우고 실행하는 과정에 그 에너지를 투자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014 잇태원 : 감각의 지도 프로젝트 It!Taewon : The Geography of sense Project

It!Taewon : The Geography of sense_Silks creen on steel_200x200cm_2014 \ 기획   인사이트씨잉 (조성배, 나광호, 이정훈, 최형욱)  디자인  살몬  번역  엄규희  교정  방유경 영상편집  한연수 후원   삼성문화재단 / 삼성미술관 기간   2014. 1.1 - 2014. 8.18 참여주민 구승회, 국종훈, 곽호빈, 김순옥, 김연경, 김영자, 김오동, 김종윤, 김철용, 나정은, 동운용, 박혜라, 송옥순, 윤순호, 은조미용실 사장님, 이광호, 이남순, 이민아헤어테크 사장님, 이세진, 이원석, 이한준, 이항종, 이회석, 우금화, 원흥재, 정수진, 진식, 홍만기, 남부경로당 정씨 어르신, 동원부동산 할머니, 미영사 세탁소 사장님, 보광로 55-7 어르신, 북부경로당 할머니 회장님, 수도부동산 사장님 어머니, 오성문구 사장님, 어머님 공원 할머니들, 영스타헤어센스 파마하러 오신 할머니, 일심 경로당 어르신들, 일심 경로당 할머니 회장님, 전진열쇠 사장님, 진미식당 주방 어머니, 챔프커피 사장님, 태창철물건재 사장님, 하얏트호텔 노동조합사무실 위원장님과 사무장님, 한남 철물점 사장님, David Campbelle, Kang Melanie, Tahar Leeum 10th Anniversary Exhibition Beyond and Between, Photographed by Hyunsoo Kim 사람이 장소에 먼저 살고 그 다음에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지도가 만들어 졌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권력적인 속성과 여러 다양한 집단의 욕망들이 지도를 통해 투영되면서 실제 거주자의 장소에 대한 생각과 상관없는 기획들이 지도 위에 표시된다. 내 삶과 상관없이 내가 사는 장소는 익명으로 표시되거나 행정적인 명칭으로 획일화 되어 표시 되곤 한다. 그리고 지도가 먼저 바뀌고 내 삶의 터전도 이에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