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021 서울공공미술 아이디어 : 모래톱 커뮤니티 BINDOONG PLAY


프로젝트 아이디어 : 모래톱 커뮤니티 

by BINDOONG PLAY



글. 장윤주 큐레이터

최형욱 작가를 중심으로 예술교육기획자, 문화기획자, 설치미술작가 그리고 현대무용안무가로 이루어진 팀 ‘놀이둥지 모래톱’은 문화예술 교육을 둘러싼 다양한 경험치를 가진 팀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송파구에 위치한 석촌호수 서호 공공문화공간에 어린이 창작 놀이공간을 조성하는 팀명과 동명의 작품은 공공미술이면서 동시에 예술교육측면이 더해진 프로젝트이다. 이 두 목표는 어느 하나 중요성과 의미를 비견할 수 없는 심도 깊은 사고와 관점이 요구된다. 특히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은 교육, 예술, 놀이, 안전, 발달과정 등 다양한 분야의 다층적인 시선이 요구되는 것으로 ‘놀이둥지 모래톱’ 의 다양한 경험을 가진 전문가들로 구성된 것이 더욱 적합하게 여겨진다. 작가는 기존 도시에서의 어린이를 위한 공간이 안전사고예방이라는 다소 엄격한 관리의 논리 하에, 놀이의 행위가 규정되고 또한 감시의 영역에 존재했음을 지적한다. “놀이둥지 모래톱”은 자율과 자치를 위한 세대통합이라는 지향점을 가진 고정된 시설을 단순히 수동적으로 즐기기 보다는 어린이 스스로 원하는 행위를 펼칠 수 있는 공동체적 환경을 구현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사용자 즉, 어린이 스스로가 구조물을 사용하고 이를 통해 행위를 구성할 수 있고, 이 모든 과정을 또래 친구들과의 협력을 꾀하거나 이룩할 수 있다는 신뢰에서 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작품은 크게 Builder zone(목재 및 재활용 자재를 이용한 공간 만들기), Maker zone(스토리텔링과 연계한 자기주도 만들기), Movement zone(지형 사물, 신체를 이용한 상황 만들기)로 이루어진 ‘어린이 플레이 공간’을 조성한다. 하지만, 이 어린이 플레이 공간 조성만으로는 자율적이면서 자치적인 놀이 환경이 구현되기는 어렵다. 이를 위해서 기존 지시와 감시가 아닌, 지원과 지지를 행하는 시니어, 은퇴자, 청년, 양육자들을 대상으로 한 ‘플레이 워커’를 양성함으로써, 최소한의 가이드와 안내 하에 어린이들 스스로 협력하여 놀이방법을 찾고 또 어린이와 어른, 참여자와 참관자와 같은 세대 간 관계 맺기를 꾀할 수도 있는 방안을 꾀한다. 

나아가 예술교육의 ‘놀이’를 매개로 하여 지역 내 노인, 다문화가정, 교육자 및 활동가, 양육자 등과 같은 커뮤니티와 연계한 다양한 형태의 ‘소모임의 활동’ 까지 확장됨을 꾀한다. 이는 기존 어린이를 위한 놀이 시설이 고정된 구조물에 국한되어 있거나 체력활동과 같은 단순한 행위의 차원에서만 이해되어 온 측면을 탈피하고자 한다. 이로써 작가가 제공한 최소한의 구조물과 안내 하에 또래 집단 간의 협력과 소통 그리고 자발적인 행위를 촉발시키는 최소한의 장치로서 기능하는 새로운 역할을 창조해 낸다.






“놀이둥지 모래톱” 작품은 공공성, 예술, 교육, 협력, 커뮤니티 이 모든 가치들이 서로가 서로를 매개 연계하여 의미를 도출해 내는 것이다. 그렇기에 개별 요소들은 규정되거나 정해진 것이 아니라, 작품의 주 사용자인 어린이들의 참여와 개입으로 완성된다. 이들 역시 플레이 워커라 명명된 시니어 중심의 어른세대와의 지지와 협력이 요구되므로 서로 다른 집단과 연계와 확장까지 이어지는 일종의 선순환 구조나 플랫폼으로서 기능 역시 수행하는 듯 하다. 공공미술의 또 다른 주안점인 유지 보수를 중심으로 한 지속성은 작품의 완성도와 결부되는 중요한 지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사용자(어린이/민간영역)와 관리자(어른/공공영역)의 접점과 협력은 자연스러운 요구이자 공공미술작품의 지속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기도 하다. 어쩌면 ‘교육’을 매개로한 공공미술을 상상해 볼 때, 교육이야 말로 예술에 있어 공공적 성격을 내포한 것으로 이는 ‘관계’와 ‘협력’, ‘자발성’의 개념을 포함한 행위라 가능할 것이다. 






최형욱 작가는 매립되기 전 잠실도와 송파강 일대의 하천 주변에 드넓게 펼쳐진 모래벌판을 연상하면서 작품에 모래톱을 명명하였다고 한다. 이는 황무지처럼 보이지만 강 하류에 서생 하는 수많은 생명체들의 터전인 것처럼, 다양한 가능성을 지닌 터전을 상징한다. 어린 시절 모래밭에서 노는 법을 가르쳐 주지 않았어도 모래성을 쌓고 공주와 왕자의 하루를 상상하고 노래하던 것처럼 “놀이둥지 모래톱”은 스스로 꾀할 수 있는 어린이들의 무한한 가능성에 대한 신뢰가 느껴지는 작품이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CV

최형욱  Heonguk Choi_ KINGWORK STUDIO   시각예술 , 설치미술 , 빈둥플레이디렉터 시각예술가로 활동하면서 공공예술과 예술교육프로젝트를 기획운영해왔습니다 .  장소성과 피난처 개념에 관심을 가지고 작업을 해왔습니다 .  특히 난민으로서 어린이를 공공공간에서 어떻게 환대할 수 있을까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동료 예술가들과 함께  빈둥플레이  협동조합을  운영하며   한국적 맥락에서 어린이 스스로 만드는 실험놀이터 만들기  프로젝트를  진행  하고 있습니다 .  2024-26 암스테르담  Rijksakademie van beeldende kunsten  입주작가, 2019 김종영미술관 Young Creative Artist 개인전,  2016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레지던시 입주예술가 , 2014 핀란드스턴다스 뮤지엄 입주예술가   @heonguk_choi @bindoongplay www.heongukchoi.blogspot.com #킹워크스튜디오#최형욱작가#시각예술가#비주얼아티스트#예술교육활동가#커뮤티디자인#공공예술프로젝트#목수#놀이터디자인#서울예술교육센터#teaching artist#빈둥플레이#bindoongplay While working as a visual artist, I have planned and operated public art and art education projects. I've been working on the installation with an interest in the concept of place and shelter. In particular, with a sense of how to welcome children as refugees in the public, we are wo...

2021 - 2024 샘이깊은 집 프로젝트 A House being deep in the spring : Self Constructing housing

샘이 깊은 집 프로젝트 2021-2024 A House being deep in the spring  : self construction housing 2021-2024 대부분의 예술가들에게 자신만의 작업 공간을 가지는 것은 꿈입니다. 저 역시 오랫동안 이 꿈을 품어왔고, 작업과 생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였습니다. 저는 자유롭게 실험하고 창작할 수 있는 전용 공간을 원했습니다. 또한, 아이들이 자라면서 집에 더 많은 공간이 필요해졌고, 아내는 단기 임대나 에어비앤비 운영을 위한 추가 공간을 원했습니다. 이는 그녀가 오래전부터 하고 싶었던 일이기도 했고, 부족한 수입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예산 문제는 항상 현실적인 장애물이었습니다. 부족한 재정을 해결하기 위해 저는 어려운 결정을 내려야 했습니다. 예술가가 아닌 전혀 다른 직업을 선택하여 큰 돈을 모으든지, 아니면 직접 몸을 써서 해결하든지 말입니다. 어떤 사람이 쇼핑을 이렇게 정의한 적이 있습니다. '스트레스와 노동을 감내한 대가로 돈을 받고, 그 돈으로 필요한 물건을 교환하는 행위.' 그렇다면 인생에서 가장 큰 쇼핑은 바로 '집'이 아닐까요? 많은 사람들이 인생을 담보로 대출을 얻고, 집을 마련하기 위해 끝없이 노동하고 있습니다. 저 또한 이 현실을 되돌아보며 고민했습니다. 그렇다면 조금 더 전향적인 사고방식을 가져보면 어떨까 생각했습니다. 어차피 돈을 벌기 위해 스트레스를 감수하고, 그 돈으로 집을 살 계획이라면, 차라리 그 스트레스와 노동을 직접 집을 짓는 데 투입하면 어떨까 라고요.  우리 조상들은 전쟁 이후 폐허 속에서 벽돌과 모래를 직접 나르며 집을 짓고 삶을 재건하지 않았습니까? 돈을 많이 벌거나 대출 자격을 갖추면 전문 시공사에 맡길수 있습니다. 그러나 결국 스트레스와 어려움은 피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차라리 건축을 배우고 실행하는 과정에 그 에너지를 투자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2014 잇태원 : 감각의 지도 프로젝트 It!Taewon : The Geography of sense Project

It!Taewon : The Geography of sense_Silks creen on steel_200x200cm_2014 \ 기획   인사이트씨잉 (조성배, 나광호, 이정훈, 최형욱)  디자인  살몬  번역  엄규희  교정  방유경 영상편집  한연수 후원   삼성문화재단 / 삼성미술관 기간   2014. 1.1 - 2014. 8.18 참여주민 구승회, 국종훈, 곽호빈, 김순옥, 김연경, 김영자, 김오동, 김종윤, 김철용, 나정은, 동운용, 박혜라, 송옥순, 윤순호, 은조미용실 사장님, 이광호, 이남순, 이민아헤어테크 사장님, 이세진, 이원석, 이한준, 이항종, 이회석, 우금화, 원흥재, 정수진, 진식, 홍만기, 남부경로당 정씨 어르신, 동원부동산 할머니, 미영사 세탁소 사장님, 보광로 55-7 어르신, 북부경로당 할머니 회장님, 수도부동산 사장님 어머니, 오성문구 사장님, 어머님 공원 할머니들, 영스타헤어센스 파마하러 오신 할머니, 일심 경로당 어르신들, 일심 경로당 할머니 회장님, 전진열쇠 사장님, 진미식당 주방 어머니, 챔프커피 사장님, 태창철물건재 사장님, 하얏트호텔 노동조합사무실 위원장님과 사무장님, 한남 철물점 사장님, David Campbelle, Kang Melanie, Tahar Leeum 10th Anniversary Exhibition Beyond and Between, Photographed by Hyunsoo Kim 사람이 장소에 먼저 살고 그 다음에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지도가 만들어 졌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권력적인 속성과 여러 다양한 집단의 욕망들이 지도를 통해 투영되면서 실제 거주자의 장소에 대한 생각과 상관없는 기획들이 지도 위에 표시된다. 내 삶과 상관없이 내가 사는 장소는 익명으로 표시되거나 행정적인 명칭으로 획일화 되어 표시 되곤 한다. 그리고 지도가 먼저 바뀌고 내 삶의 터전도 이에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