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025 Dancing Flow of Microorganisms

2008 As Any Vulgar Follow_Master degree Solo Show


어느 저속한 무리처럼 

As Any Vulgar Follow



석사학위 청구전


Kookminart Gallery, Seoul

2008. 7. 00- 2008. 7. 00




An upstair cafe, 

Oil on canvas, 194x130.5cm, 2008



 

본인의 작업에는 사람이 많이 등장한다. 거리를 배회하다 순간 마음을 움직이는 어느 현장에 시선이 머물게 된다. 그곳은 대부분 사회의 거대한 흐름 속에서 소외되거나 사사로운 의사교환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그 이 후에 철저한 주관에 입각해서 내 기억의 조합으로 그 상황을 표현한다. 최대한 시선을 단순하게 하고 아이같이 자유로우며 보다 만만한 표현을 지향한다.

그 결과들은 본인이 객관적으로 평가하기는 힘들지만 일단 기대하는 바는 쉽게 간과되었던 사회 안의 흐름들, 삶의 아이러니, 보다 희석되고 분열되기 쉬운 개인의 삶을 건져내서 바라보기 등이다.




Draw, Oil on canvas, 162x130.3cm, 2008


내 작업의 동기는 자아 중심주의와 권위 엘리트주의에 반발하는 서구의 흐름과 비슷한 이유에서 출발하였다. 왜냐하면 동시대가 여전히 겪고 있는 정서적, 실제적 고통들은 분화와 소통의 부재에서 기인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인간의 속성은 기본적으로 이해관계가 갈리고 고통스러운 상황이 닥치면 쉽게 선을 긋고 자신만의 안전한 영역을 구축하기 때문에 이러한 분열은 가속화 된다. 서구 현대미술은 권위적인 추상미술대신 일상과 소비산업사회의 이미지를 적극 활용하거나 미술이라는 닫혀있는 형식과 제도 자체에 반발하는 새로운 형식 탐구의 흐름, 그리고 다원화된 경향으로 변화해 왔지만 새로이 등장한 흐름들은 저마다의 또 다른 권위를 형성하였고, 미술은 미술대로 사회와 겉도는 




 
   
A motorcycle, Charcoal on Korean paper, 73.5x104cm, 2008


    




느낌을 지우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렇다고 사회와 밀접한 통합을 하기위해 예술이 예술로써 형식을 잃어버려서는 안 될 일이다. 도구로 전락한 예술은 예술가본인에게도 바라보는 관람객에게도 전혀 매력적이지 않은 것이 되기 때문이다. 사회와 겉돌지 않으면서도 예술적 매력을 잃지 않는 지점을 찾는 것은 본인에게 중요한 화두였다.




Banning turn right, Pencil on Korean paper, 33x37.7cm, 2008


그래서 지향하고 있는 작업의 지점은 현실을 표현하되 지나치게 무겁지 않게 보다 만만한 속성을 갖추는 것이다. 자기를 주장하지 않는 타력(他力)적인 예술이 되길 원하는데 이는 현세적 감각에 무심하고 작가의 아이텐티티를 주장하지 않는 미술사의 흐름에서 공통적으로 발견 할 수 있다. 중세의 미술, 비전문가들의 미술, 민예적인 전통 등이 그러하다. 그리고 이러한 속성들이 미술계 안에서 재배치되었을 때 역설적이고 유쾌한 조우가 일어나기를 기대한다. 어떤 일상적인 사물, 이미지를 재배치하는 것은 뒤샹이나 팝아트의 흐름에서 주요하게 사용했던 전략인데 그들의 재배치는 일종의 회의주의 적인 도전이지만 본인의 작업은 지극히 온정적이 방식으로 미술 안으로 들여온다. 이미지의 반복은 개성을 희석시키지만 나는 희석된 개인이 구원되기를 원한다. 엉뚱한 재배치는 미술과 현실에 조소를 보내지만 나는 교감과 환기를 기대한다. 보다 전체적인 구조 속에서 사회와 인간을 바라보고 분열된 개인들이 예술과 예술적인 삶을 통해서 통합되기를 원한다.




A hand car,  Wood Glass Paper Wire Electronic motor, 

Acrylic on Clay, 60x60x120cm, 2008








A bus, Wood Glass and Acrylic on Resin, 80x80x132cm, 2008


자본주의 사회는 자본을 매개로 사회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서로에 대한 필요와 관계에 대한 욕구가 어쩌면 사람들을 그리도 자본에 목메게 만드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예술계 안에서도 마찬가지라 생각된다. 예술이라는 지고의 목적을 통해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서로에 대한 이해와 수용을 기대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결국 원하는 것은 단순한 것인데 사람은 이 모든 것을 복잡하게 만드는 것 같다.





Oganization chart, Korean ink on paper and tape, 300x600cm, 2008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CV

최형욱 Heonguk Choi_ KINGWORK STUDIO   While working as a visual artist, I have planned and operated public art and art education projects. I've been working on the installation with an interest in the concept of place and shelter. In particular, with a sense of how to welcome children as refugees in the public, we are working with fellow artists to create an artist cooperative team called Bindoong Play and work on an experimental playground that children can make themselves in a Korean context. I am  2024-26 Resident Artist, Rijksakademie van beeldende kunsten in the Amsterdam.  I worked as an artist in the 2019 Kim Jong-young Museum of Art's Young Creative Artist individual exhibition, the 2016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oyang Residency artist, and the 2014 Sturndas Museum residency in Finland.  #KingworkStudio #Artist Choi Heong uk#VisualArtist #ArtEducationActivist #CommunityDesign #PublicArtProject #Carpenter#PlaygroundDesign#Seoul ArtsEducat...

2025 Dancing Flow of Microorganisms

1. Purpose I am writing to seek the understanding and support of the Rijksakademie community regarding my upcoming artistic research project. My goal is to present my work transparently and clearly to prevent any discomfort or misunderstanding. I sincerely appreciate your consideration and support in this matter. 2. Project Overview Title: Dancing Flow of Microorganisms This project is an experimental exploration of permaculture and ecological cycles. Specifically, I propose to construct a small treehouse at the southwestern edge of the Rijksakademie garden. This structure will function as a composting toilet, integrating a sustainable waste recycling system. The project aims to collect organic waste—including human waste from the Rijksakademie community, garden byproducts, food scraps, paper waste, and sawdust—and process it into nutrient-rich compost. Once the construction is complete, I will oversee the collection and composting process until the end of 2026, carefully managing the ...

2021 - 2024 Deep spring house project : Self Construction project

샘이 깊은 집 프로젝트 2021-2024 Deep spring house  : self construction housing 2021-2024 대부분의 예술가들에게 자신만의 작업 공간을 가지는 것은 꿈입니다. 저 역시 오랫동안 이 꿈을 품어왔고, 작업과 생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였습니다. 저는 자유롭게 실험하고 창작할 수 있는 전용 공간을 원했습니다. 또한, 아이들이 자라면서 집에 더 많은 공간이 필요해졌고, 아내는 단기 임대나 에어비앤비 운영을 위한 추가 공간을 원했습니다. 이는 그녀가 오래전부터 하고 싶었던 일이기도 했고, 부족한 수입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예산 문제는 항상 현실적인 장애물이었습니다. 부족한 재정을 해결하기 위해 저는 어려운 결정을 내려야 했습니다. 예술가가 아닌 전혀 다른 직업을 선택하여 돈을 모으든지, 아니면 직접 몸을 써서 해결하든지 둘 중에 하나였습니다. 어떤 사람이 쇼핑을 이렇게 정의한 적이 있습니다. '스트레스와 노동을 감내한 대가로 돈을 받고, 그 돈으로 필요한 물건을 교환하는 행위.' 그렇다면 인생에서 가장 큰 쇼핑은 바로 '집'이 아닐까요? 많은 사람들이 인생을 담보로 대출을 얻고, 집을 마련하기 위해 끝없이 노동하고 있습니다. 저 또한 이 현실을 되돌아보며 고민했습니다. 그렇다면 조금 더 전향적인 사고방식을 가져보면 어떨까 생각했습니다. 어차피 돈을 벌기 위해 스트레스를 감수하고, 그 돈으로 집을 살 계획이라면, 차라리 그 스트레스와 노동을 직접 집을 짓는 데 투입하면 어떨까 생각했습니다.  일종의 중간 유통마진을 줄이는 것 입니다. 우리의 앞 세대 어른들은 전쟁 이후 폐허 속에서 벽돌과 모래를 나르며 직접 집을 짓고 삶을 재건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하지만 민주화 이후 와 번영의 시기에 자란 저희 세대는 손에 직접 연장을 잡기 보다는 책상 공부를 통한 출세를 권유 받았습니다. 돈을 많이 벌거나 대출 자격을 갖추면 전문 시공사에 맡길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