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해월리 TINY HOUSE 설계 디자인

2019   해월리 TINY HOUSE 







◼︎  개요 

◦ 내용 : 어머님 칠순 맞이 시골 피난처 간이 주택 모듈러 건축

◦ 설계, 디자인, 공사 진행 감리, 민원 처리 :  최형욱 

◦ 모듈러 주택제작 : TINY HOUSE

◦ 인허가 준공대행 : 동서건축

◦ 건축 면적 : 49.42 m2

◦ 구조 :  목조, 삼나무+세라믹사이딩 마감, 칼라징크지붕 마감, 고벽돌데크 

◦ 설계 기간 : 2019년 1월-2월

◦ 모듈 목조주택 제작기간 : 2019년 3월-5월

◦ 준공날짜 : 2019년 7월 25일 


정면도 (남)


좌측 (서)

우측 (동)

후면 (북)




평면도









◼︎ 건축후기 

○ 처음엔 아파트에 사시다 가끔 오시는 휴식처로 작게 설계되었으나 나중에 거의 상주 하시는 주택이되었다. 어머니께서 좁다고 민원이 많으셨다. 결국 어머니는 추 후 앞 데크 공간을 확장하고 샷시를 둘러 치는 공사를 진행하셨다.
 
○ 여름에는 덥고 겨울에는 춥다.  답답한 작은 주택의 단점을 보완하려고 개방감이 큰 샷시와 창을 많이 설치하였다. 결론적으로 햇볕이 너무 많이 들어오거나 겨울철 단열의 취약점이 되었다. 겨울에는 난방을 하면 평수가 작기에 금방 온도가 올라가지만  홑겹인 거실창 표면으로 결로 수가 줄줄 흐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3중 로이 시스템 창은 북면과 작은 창만 두었다. 남측 전면 창은 지나치게 커서 3중 로이 창이 제작이 불가능 하다고 했다. 과연 그러했을까 ? 별도 업체를 찾지 못했거나 비용과 마진의 문제 아니었을까 )

○ 어머니로 부터 이건 집도 아니다. 라는 불평을 수도 없이 들었다. 어르신 입장에서는 콘크리트 조적조와 처마가 깊게 나온 주택이 진짜 주택이라는 인식이 깊으셨다. 

○ 단정한 모양을 위해 처마가 없앴다. 처마를 현관 눈썹 지붕으로 대체할 수 있으리란 생각이 착각이었다. 처마가 없앤 것은 간결한 디자인을 원해서 였지만 추후 빗물 받이와 거추장스러운 덧 공사로 인해 의도했던 간결함은 사라졌다. 

○ 견적서를 형식적으로 내고 실재 내용은 불일치하게 공사를 하는 동네 사장님들이 종종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이것은 성실함과 능력의 문제이다. 다양한 재료와 선택 옵션에 따른 세세한 견적을 산출할 수 없거나 상황에 따라 다양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없다면 전문가가 아니다. 건축 업계에는 소위 검증되지 않은 건축회사 사장이라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즉 견적서는 대충 내서 건축주를 미혹해서 수주를 따내고 나중에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주먹 구구, 돌려막기, 선수금은 다른 공사 밀린 재료 대급 납부하는 식으로 건축주를 호구삼는 관행이 많다. 조심해야 한다. 크게 후회 하고 마음고생 하게 된다.




인기 글

이미지

C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