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025 Dancing Flow of Microorganisms

2021 Floating Island_Yanpyeong eco museum achieving research






플로팅아일랜드_양평에코뮤지엄 리서치 전시


◼︎ 이사벨라 버드 비숍 여사의 남한강 내륙여행


구한말, 영국 왕립 지리학회 소속의 62세 영국 부인이 나룻배를 타고 한강을 거슬러 내륙을 여행하였다.   


“한강은 강원도와 금강산에서 발원하여 수많은 지류를 형성한 강으로 국경에 있는 압록강 다음으로 길다. 한강은 조선을 가로질러 흐르고 있는 데 동쪽 발원지는 동해에서 25마일 정도 내륙으로 들어와 있으며 서쪽은 제물포에 이른다. 나는 동해에서 40마일 이내의 내륙까지 올라갔으므로 작은 배로 항해할 수 있는 한강의 길이는 170마일 정도라고 생각된다. 바닥에 흰모래가 훤히 들여다 보였고, 주로 화강암으로 된 황금빛의 자갈과 바위가 깔려 있었다. 강폭은 약 250야드로 항해하기 적당했다. 그러나 때때로 암벽으로 좁아지기도 하고 섬으로 나누어지기도 했다. 바닥은 자갈 투성이었고 잔물결이 상쾌하게 일고 있었다.


여울의 중심부는 넓고 조용하고 호수같이 깊은 녹색이고 20피트 깊이로 1-2마일 정도 지속된다. 분류점을 지나면 46개의 급류가 나타난다. 그들 중 대부분은 매우 위험해서 항해 하기가 불가능하다고까지 생각되었다. 강을 따라 이 지방의 중요한 특산물들이 서울로 운송되었고 거의 모든 생활필수품 소금 그리고 외래 물품들이 보부상을 통해서 항구로부터 운송되어 중요한 지점에 있는 내륙시장에 전달되었다. 내가 처음 여행한 10일 동안 보통 하루에 75대의 나룻배가 오르내렸고, 한강에서 생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도 상당히 많았다. 강 전체를 여행하는 동안 단 1개의 다리도 없었지만 정부가 제공한 47개의 무료 나룻배를 통해 왕래하고 있었다.   

이사벨라 버드 비숍 1898- 








그녀는 폭이 겨우 1.5미터밖에 안 되는 나룻배를 타고 사공과  통역자와 배 위에서 숙식하며 한강을 타고 내륙 여행을 하였다. 한강 나루터에서 출발하여 상류로 거슬러올라 영월까지 더 이상 나룻배가 들어갈 수 없는 지점까지 여행 하였고 다시 양수 두물머리로 내려와 북한강을 타고 춘천 화천을 지나 금강산까지 여행을 하고 돌아왔다.     


남한강을 타고 올라가면 영월 동해안 가까이까지 접근할 수 있었다는 사실과 북한강을 타고 올라가면 금강산이 나온다는 사실은 내가 어릴 적 학교 지리시간에 배운적 없는 매우 낯선 개념이었다.



◼︎ 여울 : 탄 灘


강이나 바다의 바닥이 얕거나 폭이 좁거나 하여, 물살이 세차게 흐르는

뜻을 나타내는 ( ) 음을 나타내는 (어려울 ) 합쳐진 형성자"


한강수계 곳곳에는 ‘탄’ 자가 붙은 지명이 많다. ‘탄’ 자는 여울을 의미한다. 그리고 좁은 길목 빠른속도로 흐르는 여울은 굵은 자갈과 반대편 유속이 느린 곳에는 넓은 모래사장을 동반한다. 


대동여지도와 동여도에도 한강의 학여울(학탄) 양근(양평)의 큰 여울(대탄)이 주요 지명으로서 한강수계에 표시되어 있다.  그만큼 국가 입장에서 한강을 관리할 때 이 ‘여울’을 인지하는 것은 중요한 국정과제 중 하나였다는 의미이다.


동여도



좀 더 세부적으로 양근군읍지(1899)등 지방 관할도를 살펴보면 현재 팔당댐 지역부터 병탄-월계탄-청탄-대탄-제탄-사탄-장탄-파내탄-세심탄으로 이어지는 여울들이 표기되어 있다. 한강 뱃길을 이용하는 모든 사람들이 유념해야 할 지명이었다.  


여울은 사실 뱃사람에게 매우 위험한 곳이었다. 여울은 자연이 인간에게 주는 경고인 셈이다.  여울에는 좁고 세찬 물의 흐름이 있었고 바위 등 위험요소가 도사리고 있었다.  여울은 물자를 운송하고 사람을 태우고 이동하기에 거추장스러운 지형이었다. 당시 한강의 뱃사공이 된다는 것은 단순히 노를 젓고 물자를 운반하는 육체노동을 의미하지 않았다. 1970년대까지 현존했던 한강 뱃사공이 된다는 것은 물속의 지형, 여울과 보이지 않는 바위 자갈들, 급속한 흐름과 부드러운 흐름을 모두 이해하고 이 사이에서 아슬하게 균형을 잡고 미끌어지는 종합직인 행위예술이었다.


하지만 기술의 발달로 거대한 바위 제거가 가능해졌고, 한강에 보와 댐이 놓이면서 여울은 이제 눈앞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여울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여울이 사라지고 나서야 비로소 알게 되었다. 


여울은 나루터(진)와 상관관계를 맺는다. 

자갈이 많고 물살이 급한 여울과 여울 사이에는 유속이 느리고 잔잔한 ‘진’이 자리 잡게 된다.  그리고 물살이 빠른 여울은 무거운 자갈을 운반하고 상대적으로 유속이 느린 부분에는 가벼운 고운 모래가 쌓이게 된다. 즉 모래사장이 생기는 것이다. 금빛 모래사장과 반짝이고 찰랑이는 얕은 여울이 함께 있는 곳이 한강의 본래 모습이었다.


훗날 근대에 이르러서 물살이 빠른 여울은 배의 운송을 방해하는 요소로 보였고 남아도는 한강의 모래는 전국적인 콘크리트 토목 공사의 건설 자재로 재발견되었다. 


비교적 구한말의 모습을 보존하고 있었던 1973년 이전의 양강을 기억하고 계신 세대가 이제 아흔을 바라보고 계신다. 이분들의 기억을 마지막으로 '여울 : 탄' 자라는 글자는 우리의 기억 사전에서 사라지게 될 것이다. 역동적인 여울의 모습이 한강에서 사라졌기 때문이다. 우리의 하천은 ‘정비’라는 명목하게 원형을 잃어버렸다. 모래와 여울은 동전의 양면처럼 함께 다닌다. 좁게 굽이 치는 빠른 흐름의 여울은 주변에 모래톱을 수반한다.  하천 주변에 넓은 모래사장과 생태습지를 품고있고 그곳에는 동식물들의 보금자리가 된다. 우기에는 많은 강물을 흡수하고 건기에는 얕은 물이 흐른다. 한강은 본래 모습은 잔잔하게 고정된 현재의 모습이 아니라 얕음과 깊음, 좁음과 넓음, 느림과 빠름이 공존하며 잔물결과 굽이치는 여울과 잔잔함이 어울어진 매우 역동적인 모습이었다. 그리고 강 주변으로 다양한 식생과 밀-보리농사, 주민들의 여가, 그리고 아이들의 놀이와 이야기가 끊임없이 발생하는 문명의 중심 환경이었다. 




◼︎ 아낌없이 주는 한강 종합개발


김현옥 서울시장이 한강변을 따라 제1한강교에서 김포공항까지 자동차 전용도로를 개설하고 제방을 건설한다는 계획을 지시한 것이 1966년이었다. 제방도로가 완성될 때쯤 그는 우연한 발견을 하였다. 제방 안쪽에 공유 수변에 꽤 넓은 땅이 발생한 것이다. 한강 종합개발계획의 밑그림이 그려졌다. 


년 말부터 한강 여의도 건설이 시작되었다. 70년대 당시 서울시 도시개발국장을 역임한 고 손정목 교수의 증언에 의하면 잡초와 우거진 야산뿐이었던 강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한강 개발이 먼저 이루어져야 했다. 그리고 한강 개발은 한강 상류의 다목적 댐(소양댐) 건설과 하나로 이어져 있는 사업이었다.




당시 서울시가 신문에 배포한 팸플릿에 한강 개발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한강의 종합적인 이용계획에 의하여 

 한강 치수의 완벽을 기하고 

 도시교통 완화에 기여하며 

 강변도시 및 도시개발의 참신한 기틀을 촉진하기 위하여

 견고한 제방을 구축하여

 고속화 강변도로를 건설하고 

 한강연안 및 여의도의 근대적 도시개발을 완수한다."


한강 제방공사로  발생한 택지들을 매각하는 것은 부수적인 이익이었다. 개발부지 매립사업에 건설부 장관을 통해 개발 면허를 받은 민간기업들이 참여하였다. 한강의 토사와 모래를 퍼올려 들여쌓은 제방 안쪽을 메우기 시작했다. 그리고 기업들이 개발한 부지에 아파트 건설 붐이 일기 시작했다. 즉 하천 공유지 매립공사는 정부와 기업들의 큰 이익 사업이 되었다.  


“김현옥-양택식으로 이어지는 1960년대 후반에서 70년대 전반에 걸쳐 서울시 간부 중에는 수자원 전문가가 없었다. 따라서 서울시 간부중 소양강 다목적 댐이 생기면 한강의 모습이 어떻게 달라지는 가를 시장에게 상세히 보고하고 그에 대처한 치수계획 같은 것을 수립할 만한 인물이 없었던 것이다.”  

“충분한 지형조사가 있었던 것이 아니다. 하물며 소양댐이 완성되면 강 넓이를 얼마나 좁힐 수 있다는 수리 모형실험을 한 단계도 아니었다. 조성될 택지의 넓이도 주먹구구식이었고 그 택지가 조성되자마자 팔린다는 확신이 섰던 것도 아니었다. 계획을 세우라는 명령에 따라 책상 위에서 간단한 길이 계산만 했을 뿐이었다. “ 


손정목, 전 서울시 도시개발국장, 서울시립대 교수- 


당시 서울의 리버 라인을 마음대로 변형할 수 있었던 집행자들은 서울의 미래와 모습에 대해 충분히 숙고할 시간이 있었을까? 당시 공직자들은 과도한 업무에 초인적인 힘으로 함몰되어 있었다. 또한 자신의 생각이라는 것이 없었던 시절이었다. 명령이 떨어지면 다음날 청와대에 차트 보고 하고 다음날 바로 언론에 터트리던 시대였다. 


홍수를 다스리기 위해서 한강 제방도로를 만들었다는 표면적 이유도 근거가 빈약하다.  왜냐하면 1925년 을축년 대홍수 이래 한강 종합계획이 세워지던 66년까지 오랫동안 서울 한강 유역의 물난리가 없었기 때문이다. 도리어 서울시의 홍수는 소양강 댐이 한창 건설되어가던 72년에, 84년 충주댐이 준공되기 직전에 서울시에 대규모 물난리가 있었다. 정황적 의심뿐이지만 때 마침 동아시아 최대 댐이 준공을 바로 앞둔 시점에서 서울시에 물난리가 났다. 


 

1972년 한강 대홍수



거대 다목적 댐이 완공 후에는 더욱더 홍수예방을 위한 하류의 수중 보는 거의 의미가 없다. 우리가 뉴스에서 접하는 팔당댐 방류 영상은 전력 생산용 댐인 팔당댐이 망가지지 않기 위해 방류하는 것이지 홍수 수위 조절은 이미 최상류의  소양강댐과 충주댐의 용량만으로 충분하다. 100년에 한 번 있을 대홍수에 대비되도록 만들어진 댐이기 때문이다. 


만일 7-8월 강수가 집중되는 시기 직전에 다목적 댐을 충분히 비워 둔다면 하류 서울이 범람할 일이 없을 만큼 다목적 댐의 저장용량과 한강 고수부지의 제방 둑 높이는 충분히 높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이다. 


년대 이후에도 한 번씩 서울 마포구나 풍납동 등이 물난리가 나는 것은 한강의 제방과 상류의 댐이 역할을 못한 것이 아니라 지방하천의 지류 하수구 관리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댐과 한강은 제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었다.  급격한 호우로 댐이 갑자기 방류를 해서  하류가 물에 잠긴 것이라면...  평소 전력생산과 용수공급 확보를 위해서  호우 직전 댐을 충분히 비워 놓지 않아서가 아닐까?  결국  자연재해가 아니라 시스템과 커뮤니케이션의 문제, 즉 인재라는 의미이다. 전력생산과 용수사용을 위해 물을 넉넉히 저장해 두겠다는 욕심으로 인해 댐을 충분히 비워두지 못했고 갑작스러운 호우로 인해 댐을 급하게 방류해야 했던 것은 아닐까? 



출처. 댐의 홍수방어 능력강화를 위한 비 구조적 대책, 국회입법조사처, 2020

2020년 발행된 국회 입법조사처의 보고서에 의하면 이러한 추론은 충분한 근거를 가진다. 기존의 댐을 증설하거나 댐의 높이를 높이는 방식의 구조적(하드웨어) 위주의 치수계획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고 급변하는 기후위기 시대에 유연한 대처가 어렵다는 것이다.  그래서 더 이상 추가로 댐을 높이 건설하는 방식으로 정책을 펼치기보다 기존은 운영지침을 유연하고 합리적으로 운영하는 비구조적(소프트웨어) 대책으로도 홍수 대비를 충분히 할 수 있다는 논지이다. 




◼︎깨끗한 물 아리수 



세기 기록에 의하면 서울의 청계천에 늘어가는 한양 인구로 인해 오물과 똥이 쌓여갔다. 당시 서울의 상수도는  깨끗한 우물물이었고 하수도는 따로 없었다. 청계천과 같은 지천이 하수도의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인구가 늘어가면서 우기에 똥물이 범람하였다. 그래서 영조 때 청계천에 누적된 슬러지를 퍼내는 대규모 치수공사가 있었다. 


근세이후 점점 서울의 우물에서 맑은 물을 얻을 수 없게 되자 조금 더 먼 곳의 우물을 찾아 물동이를 이고 물을 옮기는 일이 노비와 여성과 아동의 일이 되었다. 물 긷는 일을 전업으로 하는 일군의 남자 운반 노동자 무리 속칭 '물장수'가 등장하였다. 물장수는 개항 후 외국인의 카메라에 자주 포착되었다. 


근대식 상수도 사업은 한양에서 전차 사업을 하던 미국인 콜 브랜과 영국인 보스트윅이 고종으로부터 상수도 사업권을 얻어내면서 시작되었다. 1908년부터 하루 12,500톤의 물을 지금의 뚝도 취수구에서 끌어와 서울의 사대문과 용산 일대에 공급하기 시작하였다. 수도 부설 5년 만에 서울 가구의 1/3이 사용하였다고 한다. 수인성 전염병의 위험도가 그만큼 줄었다. 장점도 있지만 단점도 있었다. 우물물은 노비나 하인 혹은 물장수가 길어다 주는 비용 외에는 공짜였지만 수도는 공짜가 아니었다. 그렇다고 하인이나 물장수가 길어다 줄 필요가 없을 만큼 개별 가정에 공급망을 갖춘 건 아니었다. 물 배달업은 여전히 필요했고 급수권 등 여러 사업의 권리가 거래 되었다.


년까지 서울의 상수도 보급률은 50%에 불과했다. 1970년에 85%로 늘어났다. 하지만 수돗물의 품질에 대한 의구심이 사라지진 않았다. 90년대까지도 수돗물의 안정성을 믿지 못한 시민들은 결명자나 보리차를 끓여마셨다. 하지만 그래도 물은 거의 공짜에 가깝다고 인식될 만큼 수돗세는 저렴했다. 가까운 미래에 물을 돈 주고 사 먹는 다는 말을 그 당시 아무도 믿지 않았다. 누가 물을 돈 주고 사 먹어? 하지만 지금은 당연히 물을 돈 주고 사 먹는 시대가 되었다. 1년에 1-20만 원의 정수기 관리 비용, 한 달에 4-5만 원의 정수 렌털사업, 좀 더 저렴한 방법으로 생수 드럼통을 배달시켜 먹거나 혹은 일반 가정집은 대형마트에서 1.5리터 12묶음을 사놓고 먹기도 한다. 없던 물관련 시장이 생겨났다.


년대까지 사실 한강 상수원의 수질에 대해서 크게 걱정하지 않았다. 1970년대까지 정화시설은 기본적인 응집침전과 소량의 약품처리 후 상수원으로 공급하는 방식이었다. 이 정도만 해도 대부분의 세균은 제거되었다. 하지만 70년대 이후 고도 산업화되면서 산업폐기물과 화학물질이 섞인 하수는 더 이상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정화할 수 없었다. 1980년대 이후 잠실보 하류의 취수장의 물은 더 이상 상수도로 사용할 수 없는 지경이 되었다. 그래서 대부분의 취수장은 잠실보 상류로 옮겨졌다.  


팔당댐의 맑은물을 서울 1000만 시민에게 공급한다는 일반적인 믿음과 달리 실재로는 '풍납취수장'에서 영등포구의 물을, '강동 암사취수장'에서 강동구와 강남구의 물을,  '뚝도 취수장'에서 중구, 용산구, 성동구 일대의 물을  그리고 덕소-삼패에 있는 '강북아리수정수센터'에서 노원구,은평구, 강북구의 물을 담당하고 있다.  실재 팔당댐의 '광암취수센터'의 물을 받아서 먹는 서울 시민은 송파구와 강동구 일부 지역뿐이다.



출처.2018 아리수 품질보고서


팔당댐 상류지역은  중복적으로 개발제한법, 상수원 보호법, 농업진흥구역제한, 신규 산업시설 건설 제한,  건폐율의 제한을 받고 있다. 즉 공공의 이익을 위해  인근 비슷한 지방도시인 여주, 이천, 광주시에 비해 재산권 행사의 제약을 받고 있는 셈이다. 공공성 원리에 기반하여 서울 시민들은 수돗물 톤당 150원 정도의 물부담금을 더 내고 있다. 이 비용은 한강 상류지역의 고통을 분담한다는 목적으로 치수관리, 상수원 보호지구 환경관리, 교육복지 등 주민지원사업에 쓰이고 있다.  이 물 보조금을 매년 보조사업비 신청을 받아 분배를 한다. 도로포장, 주민 체육시설, 마을 농기계 구입,  꽃 심기 사업, 상류지역 지방학교 예술교육사업 등에 쓰이고 있다. 하지만 가장 기금 지출 비중이 제일 큰 것은 남한강 하천 인근의 땅을 매수하는 비용이다. 수변 1킬로 이내의 땅을 매물이 나오는 데로 수자원 공사에서 매입해서 녹지를 만드는 것이다. 결국 서울 시민을 위해 상류 지방을 청결하게 만드는 것이 정책의 주요한 목표인 셈이다. 


그런데 이런 도-농 상생의 노력을 배반이라도하듯 대부분의 서울시민들은  팔당댐 아래에서 물을 길어 먹고 있다.  사실 팔당댐 아래로 하남, 남양주, 진접, 마석, 구리, 덕소에서 나오는 물들이 모두 합류되고 있다. 그리고 팔당댐이 현 2급수 유지를 위해서 팔당댐 근처 상류 지역만 행위 제한한다고 과연 한강의 오염이 막아질까? 경기도 광주시, 용인시로 부터오는 물들도 팔당댐으로 모인다. 양평의 남한강 물은 여주의 물과 같은 물이다. 여주에 많은 공장들에 팔당과 동일한 규제가 있던가? 더 상류로 올라가면 이천의 지류들도 여주 쪽으로 합류된다. 이천에는 유명 반도체 공장이 있지 않은가? 첨단 반도체의 감광액은 독극물이다. 잘 정화해서 흘려보내고 있으리라 믿고 사는 수밖에 없다. 남한강의 상류에는 충주댐이 있다. 충주는 사과의 도시이다. 농사철이 되면 사과 농약이 물안개를 이루는 도시이다. 과연 모든 행위를 철저하게 통제할수 있을까? 


출처. 2018 경기도 수자원백서


다시 말해 팔당댐이 천만 서울시민의 상수원이기 때문에 행위를 제한하고 보호해야 한다는 말은 절반의 진실이다. 손으로 태양을 가리는 것이다. 천만 서울시민을 위해 팔당댐을 보호한다는 명분은 빈약한 논리 위에서 작동하고 있다. 다시 말해 한강의 수질이 악화된 것은 거슬러 올라가면 70년대 뉴딜 토목사업의 실험에 기인하였고, 댐 건설로 인해 느려진 유속과 쌓이는 토사, 그리고 한강 지천 관리의 문제, 서울 근교의 각종 산업시설 등 통제하기 어려운 종합적인 문제의 결과이다. 


실재 서울 시민들은 여전히 팔당댐 이남에서 화학적 정화처리를 한 물을 먹고 있다. 대한민국의 발전은 공짜가 아니었다.  값을 스스로 치르고 있는 셈이다. 현재 안타깝게도 강동 암사와 자양 뚝도의 취수원도 오염도가 점점 심해지면서 전부 덕소-삼패 쪽으로 취수원을 병합하는 계획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문제는 비용이다. 서울과 거리가 점점 멀어질수록 상수도 공급 비용이 비싸질수 밖에 없다. 


무엇을 위해 한강의 지형을 변화시켰는지 정확한 이유도 알지 못하는 사람들만 현재 남아있다. 지금의 한강 지형을 만드신 분들은 대부분 작고 하셨거나 90대 이시다. 그리고 불행하게도 그분들도 그 당시 자신들의 행위가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잘 알지 못하고 열심히 실행하신 듯하다. 


한강물을 깨끗하게 보호해야 한다는 말은 겉보기에는 옳은 말이지만 깊이 들여다보면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서는 눈을 감는다. 단지 가시적으로 눈에 보이는 부분이 서울에서 가까운 팔당댐이니까 팔당호 주변의 물만 2 급수를 유지하면 된다는 식인 것이다. 정치적 레토릭은 한 번 걸러서 숙고해서 들어야 한다. 정수기 필터는 수돗물에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우리가 듣는 정보와 말에도 필터가 필요하다.   



◼︎ 플로팅 아일랜드_떠돌아다니는 흙



일제강점기, 80년대,2020년대의 양평읍



양평의 양근섬 옆에는 높아진 수위로 인해 접근길이 막힌 작은 섬이 있다. 전설에 의하면 남한강을 따라 충청도에서 흘러온 흙이 쌓여 섬이 되었다고 해서 떠드랑 섬이라고 전해진다. 설악의 울산바위 만큼이나 믿기 어려운 말이지만 전설과 신화는 문화적 상징으로서 일정부분 진실을 내포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한국전쟁 후 한강변의 복구 사업은 토목공사를 의미했다. 전쟁 직후 국가 재정의 58% 정도는 토목 건설비로 사용되었다. 토목건설 = 폐허 복구 =근대화 현대화라는 복구 - 개발 - 발전 프로세스의 경향성은 비교적 최근까지도 이어져 온다.


한강을 근대적으로 제어하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 대동아전쟁 수행을 위해 수력전기발전용 댐을 건설하면서부터이다. 한강수계에서는 대표적으로 화천댐(1944)과 청평댐(1944)이 수력발전용 댐으로 건설되었다. 그 외에도 수력 발전용 댐을 우리나라 곳곳에 건설하였는데 이는 일본 본토에서도 실험해 보지 못한 기술을 실험하는 플랫폼으로서 시도되었다. 식민지에서 검증된 기술을 거꾸로 일본 본토에 적용해보는 방식으로 이 시기 토목-건축-기술이 발전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식민지 정책에서 대부분 비슷한 패턴을 보인다. 러일전쟁 직후 일본은 만주에 괴뢰국을 세우고 만주국에서 일본 본토 내에서 실험해 볼 수 없었던  여러 가지 기술들을 실험하였다. 철도, 항만, 도시건설, 토목 엔지니어링 등 수많은 근대화 실험을 진행하였고 검증된 기술들은 거꾸로 본토로 수입되었다. 이때 만주에서 근무했던 조선인 엔지니어와 군인들은 해방 후 우리나라로 돌아와서 주요 인사가 되었다. 그 군인 중 한 명이 고 박정희 대통령이었다. 




사실 일제강점기 때만 하더라도 댐 건설기술이 우리나라 국토 지형에 큰 변화를 줄 정도는 아니었다. 60년대 후반 기획되어 74년에 완공된 소양댐은 3대 국책 사업 중 하나였다. 대통령이 직접 챙기는 매우 중요한 사업이었다. 그 당시 동아시아 최대 규모의 사력댐(콘크리트 중력 댐이 아닌 돌과 모래로 쌓아서 만든)이었다. 이후 점진적으로 한강의 지형과 환경은 변화하게 되었다. 일제강점기와 마찬가지로 대규모 토목 국책사업은 용수확보와 홍수조절이라는 표면적 목적 이외에 다른 목적이 있었다. 우리나라 산업화를 위해 기술력를 국산화하는 것이다.  일종의 뉴딜 기술 플랫폼으로서 기획된 사업이었다. 


소양댐 건설 당시 우리나라에는 토목 건설 엔지니어링 기술이 없었으므로 최초 설계 시 프랑스나 일본의 전문가들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시공은 경험이 없었던 국내기업이 맡게 되었다. 우리나라에 없던 고가의 토목 기술 장비들을 최초로 들여와 사업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때 증명된 기술력과 장비들은 국내 토목 건설사업의 밑바탕이 되었다. 이 신화의 중심에는 현대건설사가 있었다. 당시 현대 건설의 젊은 사장이 훗날 대통령이 되어서  4대강 치수사업을 기획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었다. 


이 시절 선진 기술력를 국산화하고 건설 개발을 통해 황무지 뿐인 농업국가에서 산업국가로 변화하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은 선한 일이었다. 당시 사람들은 국가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했을 뿐이었다. 하지만 산업화 신화의 형성 과정에서 강과 관련된 주민의 삶에 대한 이야기는 생략되었다. 이 신화는 그들(his)의 이야기(story)였다. 그리고 주인공의 무대는 서울이었다. 서울의 신화를 쓰기 위해 조연으로 소비된 한강 상류의 농촌지역 사람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 사람은 당시 아무도 없었다. 


년대 건설붐은 결과적으로 전국적인 건설 골재 난으로 이어졌다. 90년대 건설교통부는 남한강 양평-여주 구간의 골재를 채취하기 위한 대규모 연구용역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남한강의 자갈과 모래를 채취하였다. 90년대 남한강 일대에서는 거대한 관으로 모래들을 빨아들이는 공사를 하였다.  

그 많던 남한강의 금빛 모래와 여울의 자갈들은 어디로 갔을까? 아마 80-90년대 건설된 신도시 아파트 콘크리트 속 어딘가에 자리 잡고 있을지 모르겠다. 



출처. 1992 남한강 골재채취계획수립 건설연구원



2020년대, 현재 양평의 농지들은 대형 덤프트럭이 부지런히 오가며 흙이 메워지고 형질 변경을 기다리고 있다.  양평에 농지 주인들이 노령화되면서 더이상 농사를 지으려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농사를 지어 이윤을 창출하는 것보다 땅의 지가가 상승하는 속도가 더 빠르기 때문이다. 형질 변경하여 판매하기 위해 농지를 메우고 있다. 그렇다면 그 많은 덤프트럭은 모두 어디서 오는 것일까?  가까운 남양주나 하남에는 대규모 신도시 건설이 한창 진행 중이다. 토목업자와 친분이 있는 한 어르신의 말씀에 의하면 남양주 하남 신도시에서 양평으로 들어온 흙차가 거의 600만 대 분량이라고 전한다. 정확한 통계는 아니겠지만 업자들 사이에서 그만큼 체감적으로 많은 분량의 덤프트럭이 양평의 농지를 메우는 데 사용되었다는 의미이다.  


흙은 의외로 발이 달려있다. 시골과 도시 하천과 산을 오가며 뒤섞이고 버무리고 다져지고 있다. 지금도 양평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 건설을 위해 산을 깎고 있다. 현장에서 나온 질 좋은 흙은 토목 골재로서 옮겨지고 있다. 양평의 흙은 여기저기 떠돌아다닌다.  떠돌아다니는 흙은 양평과 같은 도시 개발의 신화를 위해 자신의 살을 내어주는 주변부 대지에 대한 비유적 진실이다.  




◼︎ 오래된 한강의 상상력


어르신과 대화가 무르익던 중 댐이 생기기 전 양근-오빈리 일대의 얕은 물가와 여러 모양의 바위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셨다.  


각 바위들은 모양에 따라 기능도 제 각각이었다. 넓은 바위는 아낙들의 빨래터여서 빨래 바위, 쏘가리가 많이 잡히는 바위는 쏘갈 바위, 아이들이 즐겨 놀던 바위는 배꼽 바위, 옹 바위 등 다양한 형태의 바위가 있었다고 한다. 지금은 높아진 수위로 인해 모두 물 밑에 잠겨 있다고 말씀하셨다. 



최형욱_플로팅아일랜드 프로젝트_양평어르신 기억의 드로잉_양평에코뮤지엄 전시_2021


“그러니까 옛날에 고기가 70년대 물개가 올라왔어. 쏘갈 바위 위에 올라왔었어. 경찰이 잡으려고 했는데 못 잡았어. 그때가 70년대쯤 될 거야. 또 내가 17, 18살 때 돌고래가 올라왔었어. 여울에서 걸린 거야. 산에서 보니까 큰 거 검은 게 있으니까. “


돌고래라고? 처음에는 과장이 심하다 싶었다. 그런데 문헌을 찾아보니 한 가지 흥미로운 발견을 하였다. 정약전의 ‘자산어보’에 따르면 서해에는 ‘상광어’라는 피부가 빛나는 인어(사람의 얼굴을 닮은)가 있고 종종 한강을 타고 올라 온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실제로 최근까지도 서해의 한강 하구의 보에 걸려 종종 사체로 발견되었다고 한다. 혹시 그 상광어가 70년대까지 ‘보’가 없었던 한강을 거슬러 온 돌고래가 아닐까? 


한강이 서해로부터 내륙까지 이어져 있던 시절, 서해 바다의 생물이 한강을 거슬러 내륙으로 올라오지 못할 이유가 없지 않을까? 어쩌면 일제강점기에 건설된 북한강 상류의 댐들도 없던 시절이라면 서해의 생물이 한강수계를 타고 금강산까지 거슬러 올라가지 못할 이유도 없지 않을까? 


지금은 수중에 여려 개의 보와 댐이 세워져 있고, 수자원 보호법으로 강 주변에서 각종 행위가 금지되어 있다. 한강은 접근 가능한 곳이 아니라 멀리서 관망하는 사람이 없는 강이 되었다. 또한 전력자원 확보, 치수, 용수, 안보, 이데올로기로 인해 보이지 않는 금지선들이 한강수계 주변으로 그어져 있다. 서해 바다생물이 강을 타고 경계를 넘나들수 있다는 당연한 생각을 하지 못하도록 지난 100년간 우리의 상상력은 제한받았다. 


최형욱_플로팅아일랜드 프로젝트_양평에코뮤지엄 전시_2021



이번 연구과정에서 양평의 남한강 지역에 뿌리내리고 살았던 어르신들의 이야기들 통해 복원해 본 남한강의 모습은 매우 역동적이었다. 지금과 같이 잔잔한 강이 아니라 사계절의 변화가 극심한 강이었다. 투명한 물이 흐르고 물밑에는 자갈과 모래가 가득했다. 우기에는 잠기고 갈수기에는 물이 빠지는 하상계수 폭이 매우 큰 강이었다. 주민들에게 용수, 물놀이, 여가, 물고기, 등을 제공하는 아낌없이 주는 강이었다. 어린이들은 강폭이 좁은 곳은 수영을 해서 건너 마을로 건너 다녔다. 물살이 좁고 빠르게 흐르는 여울과 비교적 잔잔한 나루터가 반복적으로 위치해서 운송 및 교통 기능을 담당하였다. 주민들은 강변의 주인 없는 습지에는 밀과 보리농사를 지었다. 우기에 범람전에 수확할 수 있는 유일한 작물이었기 때문이었다. 강변에서는 농한기에 천렵(마을 야유회)을 즐기며 한해의 고된 노동을 축제로 마무리하였다. 소들을 끌고 나와 꼴을 먹이는 일은 어린이들의 몫이었다. 겨울에는 강이 꽉 얼어서 육지 건너듯 강을 건너 다녔다. 어르신들은 노동으로 고된 삶이었지만 행복한 유년기였다고 하나같이 고백하신다. 73년 팔당댐이 완공되고 나서 어느 순간부터 수위가 점차 올라오더니 이제는 여울이 없는 탁한 강이 되었다.  




“어르신! 댐 건설로 수위가 높아지고 나서 그래도 좋아진 점도 있지 않나요?”


“여기서 우리 마을에는 얻어진 것은 없지. 얻은 게 뭐가 있어? 우리가 어려서 놀던 머리 감고, 달팽이, 고기 잡고 이런 게 다 없어지고 지금은 강에 낚시도 못하게 하고 모든 걸 제제하잖아 양평은 제제받은 게 너무 많아 그러니까 할 게 없잖아.” 


“저희 아버지하고 형제들이 물속에 들어가서 쏘가리를 잡으셔서 저한테 회를 떠주시곤 했었어요. 그렇게 살았던 어렸을 때 기억이 1년에 수십 번은 꿈으로 깹니다. 어려서 했던 그런 좋은 추억들이.. 아직까지도 그렇게 살고 싶죠.” 


수위가 높아지면서 강에서 사라진 것은 비단 바위의 지명과 여울의 이름 뿐만이 아니었다. 








한강연안의 근대적 도시 개발의 기틀을 마련한다던 한강 종합계획의 영향력은 나비효과처럼 퍼져나갔다.  

서울의 공유수변을 매립하여 도시를 만들고 거기서 발생한 토지판매 비용으로 다시 제방과 도로를 확장한다.한강의 홍수를 제어하고 용수확보와 소량의, 전기 발전을 위해 곳곳에 수중보와 거대 댐을 짓는다. 수위는 점점 올라가고 유속이 느려지면서 토사가 쌓여간다. 오염은 점점 심해진다. 토사를 퍼내어서 건설 골재로 사용하고 다시 도시 인구는 증가하고 수질은 점점 더 나빠진다. 상수원 취수구를 점점 폐쇄하고 상류로 이동한다. 상류 한강 지역의 개발행위를 제한한다. 나룻배를 금지하고 낚시와 수영과 농사를 금지한다.   



최형욱_플로팅아일랜드 연대표_양평에코뮤지엄전시_2021


오늘날 잔잔하게 흐르는 남한강 뷰를 바라보며 커피를 마시기 위해  남한강변 6번국도에 차량이 길게 늘어서 있다. 남한강의 아름다움은 만지거나 몸으로 누릴수 없고 멀리서 관망해야 한다. 실재 가까이 가서 보면 부글대는 녹조와 부유물이 보일뿐이다. 남한강에서 퍼올렸던 모래 골재는 도시건설에 이용되었고 도시건설하며 퍼낸 흙은 다시 양평의 농지를 메우고  양평의 농지는 주택단지로 다시 바꿈한다.  


이렇듯 한번 손대기 시작하면 멈출수 없듯이 한강의 지형은 댐이 댐을 부르고 오염이 약품을 부르고 상수원 보호와 제약은 더욱더 강화된다.  지금 영유아들은 마스크를 쓰고 사는게 원래 당연한 것으로 알고 다니듯 후손들은 원래 한강이 그러한 줄 알고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살아간다. 한강은 언터쳐블, 즉  불가촉 하천이다.  


그런데 서해의 토종 돌고래 상광어는 어째서 과거의 기억을 잊지 못하고 자꾸 한강 하류보를 넘어와서 빠져나가지 못하고 죽는 것일까? 그 아이는 죽음을 통해 어떤 메세지를 우리에게 남기려 했던 것일까? 오래된 한강의 상상력을 불러 일으키기 위함이 아닐까?   








English version

◼︎ Isabella Bird Bishop’s Journey into the Inland Along the Han River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 sixty-two-year-old Englishwoman belonging to the Royal Geographical Society traveled inland by taking a ferry boat up the Han River.

“The Han River rises in Gangwon Province and Mount Geumgang, forming countless tributaries, and is the second longest river after the Yalu on the border. The river flows across Joseon; its eastern source lies about twenty-five miles inland from the East Sea, and its western end reaches Jemulpo (Incheon). Since I ascended as far as forty miles from the East Sea, I believe the stretch of the Han navigable by small boats is about one hundred seventy miles long.

The white sand at the bottom was clearly visible, and the bed was covered with golden pebbles and rocks made mainly of granite. The river’s width—about two hundred fifty yards—was suitable for navigation, though at times it narrowed between cliffs or divided around islands. The bottom was strewn with gravel, and gentle ripples pleasantly stirred the water.

The center of each rapid was broad, quiet, and lake-like, a deep green about twenty feet in depth, extending for one or two miles. Beyond the branching point appeared forty-six rapids, most of which were considered so dangerous as to be virtually unnavigable.

Along the river, local specialties were carried to Seoul, while nearly all necessities—salt and imported goods—were brought from ports by itinerant peddlers and delivered to inland markets at key points. During the first ten days of my journey, about seventy-five ferryboats went up and down the river each day, and many people made their living from it. Throughout the entire length of the river there was not a single bridge, yet travel was made possible by forty-seven government-provided ferries free of charge.”

Isabella Bird Bishop, 1898

She traveled inland along the Han River on a narrow ferry barely one-and-a-half meters wide, living and sleeping on board with a boatman and an interpreter. Starting from a Han River ferry crossing, she rowed upstream as far as Yeongwol—the last point a small ferry could reach—then descended to Yangsu and Dumulmeori, followed the Bukhan River through Chuncheon and Hwacheon, traveled to Mount Geumgang, and returned.

The fact that one could go up the Namhan River almost to the East Sea near Yeongwol, and that following the Bukhan River led to Mount Geumgang, was a concept completely unfamiliar to me—something never taught in geography class when I was a child.


◼︎ Yeoul : Tan (灘)

“Yeoul” refers to a place in a river or sea where the water flows rapidly because the bottom is shallow or narrow.
The Chinese character “灘 (tan)” combines the water radical “水,” meaning water, and “難,” meaning difficulty. Together they form a compound character meaning “troubled water” or “rapid current.”

Throughout the Han River system, many place names include the character “tan.” It indicates a rapid or shoal. The narrow channels where the water rushes quickly over gravel are accompanied by broad sandbanks where the current slows down.

In historical maps such as the Daedongyeojido and Dongyeodo, names like Hak-yeoul (Hak-tan) in Haknyeoul and Daetan, the “great rapid” in Yanggeun (Yangpyeong), are marked as key geographic points within the Han River basin. For the state, recognizing these rapids was one of the essential administrative concerns for managing the river.

Looking more closely at local administrative maps such as Yanggeun-gun Eupji (1899), one finds a sequence of rapids recorded from the present-day Paldang Dam area: Byeongtan, Wolgyetan, Cheongtan, Daetan, Jetan, Satan, Jangtan, Panaetan, and Sesimtan. These were names every boatman navigating the Han had to remember.

For the boatmen, however, a rapid was a place of great danger. It was nature’s warning to humankind. Narrow and swift currents hid rocks beneath the surface, threatening to overturn the boats. To be a Han River boatman was not merely to row and carry goods; it was an integrated act of physical endurance and environmental knowledge. The boatmen of the Han—who still existed until the 1970s—had to understand the underwater terrain, the invisible rocks and pebbles, the swift currents and the gentle eddies, and to balance themselves precariously between them. Their work was a kind of embodied performance art.

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large rocks were blasted away, and the construction of dams and weirs on the Han gradually erased the rapids from sight. Only after their disappearance did we begin to realize what “yeoul” truly meant.

A rapid is closely related to a ferry crossing (jin). Between the swift, gravelly rapids are quiet stretches where the current slows—the locations of ferry landings. The rapid, which carries heavy gravel along its course, deposits fine sand in these calm waters, forming sandbanks. The golden sandbanks and the glittering, shallow rapids together composed the Han River’s original landscape.

In the modern era, these swift-flowing rapids came to be seen as obstacles to navigation, and the abundant sand of the Han was rediscovered as construction material for the nationwide concrete boom.

Those who still remember the Han before 1973—the last generation to witness its late–Joseon appearance—are now in their nineties. With their passing, the word “tan,” meaning rapid, will vanish from our living memory, for the dynamic flow that gave it meaning has already disappeared.

Under the name of “river maintenance,” our rivers have lost their natural form. Yet the rapid and the sandbank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The narrow, fast-flowing currents of the rapids accompany the broad sandbanks nearby. These sandbanks, in turn, cradle wetlands full of life. During the rainy season they absorb the floodwaters; during the dry months they hold shallow streams.

The true Han River was never the still, fixed surface we see today. It was a living, dynamic body in which shallows and depths, narrowness and breadth, slowness and swiftness coexisted—rippling, curving, and breathing together. Around it flourished diverse vegetation, fields of wheat and barley, leisure for villagers, and countless children’s games and stories. The river was the central environment of civilization itself.


◼︎ The Generous Han River Comprehensive Development

In 1966, Seoul’s mayor Kim Hyeon-ok ordered the construction of an automobile road and embankment along the Han River from the First Han River Bridge to Gimpo Airport.
When the embankment road was nearly complete, he made a chance discovery — inside the levee, newly reclaimed tracts of public riverside land had appeared.
This became the seed of what would be known as the Han River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From the late 1960s, construction began on Yeouido along the Han River.
According to Professor Son Jeong-mok, who served as Seoul’s city planning director at that time, the entire Gangnam area was then nothing but wild fields and weeds.
To develop Gangnam, the Han River had to be developed first — and that project was tied directly to the construction of the multipurpose Soyang Dam in the river’s upper reaches.

A pamphlet publish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t the time stated the goals of the Han River development plan as follows:

“Through a comprehensive plan for the utilization of the Han River,
we shall achieve complete flood control,
alleviate urban traffic congestion,
promote the creation of new riverside cities and the foundation for urban development,
construct strong embankments and high-speed riverside roads,
and complete the modern development of Yeouido and the Han River area.”

The sale of the reclaimed land produced by the embankment works was considered only a secondary benefit.
Private construction companies, licensed b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joined the project, dredging soil and sand from the riverbed to fill the interior of the levee.
As these reclaimed tracts were completed, apartment construction boomed.
Thus, what had begun as river reclamation became a massive profit enterprise for both government and corporations.

“From Mayor Kim Hyeon-ok to Mayor Yang Taek-sik, during the late 1960s and early 1970s, there were no water resource experts among the Seoul city officials.
None could report to the mayor in detail how the Han River’s form would chang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oyang multipurpose dam, nor establish proper flood-control measures.
There were no detailed topographical surveys, not even one hydraulic model experiment to test how much the river could be narrowed after the dam’s completion.
Even the area of the reclaimed land was estimated roughly by rule of thumb, and no one could be certain that it would sell immediately once created.
Orders were given, a few calculations made on paper, and the next day the plans were presented at the Blue House and released to the press.”
— Professor Son Jeong-mok, former Seoul City Planning Director, Seoul City University

Could those who freely reshaped Seoul’s river line at that time have truly reflected on the city’s future?
Public officials then were overworked to the point of exhaustion and had little room for personal thought.
Orders came down; the following day they reported to the presidential office; the next, they announced it to the media.

The official justification—that embankment roads were built to prevent floods—was weak.
Since the great flood of 1925, Seoul had not suffered major inundations until the Han River development plan was initiated in 1966.
Ironically, the capital’s next large floods came in 1972, as the Soyang Dam was nearing completion, and again in 1984, just before the Chungju Dam was finished.
It raises a circumstantial suspicion: did floods occur conveniently at the very moments when massive dams were about to be inaugurat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se multipurpose dams, the downstream weirs and floodgates had little real flood-prevention function.
When we see news footage of water gushing from Paldang Dam, it is not to control flooding but to protect the dam itself, which is a hydroelectric facility.
Flood regulation is already handled sufficiently by the large storage capacities of the upstream Soyang and Chungju Dams—both built to withstand floods expected once in a century.

Experts assert that if these reservoirs are adequately emptied before the summer monsoon season, the risk of flooding in Seoul would be negligible.
The occasional inundations in districts like Mapo or Pungnap were not due to failure of the dams or the Han embankments but to poor management of local tributaries and drainage systems.
When rapid rainfall forces emergency discharges from dams, it often reflects a lack of coordination: water not released earlier to secure power generation or water supply suddenly must be expelled.
Such events are not “natural disasters” but human-made errors—failures of system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A report by the National Assembly’s Legislative Research Office in 2020 supports this reasoning.
It argued that relying solely on structural or “hardware” flood control—such as enlarging or raising dams—was costly, time-consuming, and inflexible in an era of climate crisis.
Instead, it recommended “non-structural,” or “software,” approaches: flexible, rational dam operation policies that could manage floods effectively without more concrete.


◼︎ Clean Water, Arisu

Records from the early centuries show that as the population of Hanyang (old Seoul) increased, waste and excrement piled up along the Cheonggyecheon stream. The city had clean wells for drinking water but no sewage system; small streams served as open drains. During the rainy season, filthy water overflowed. King Yeongjo therefore ordered a major dredging and sanitation project to remove the accumulated sludge from Cheonggyecheon.

As wells in central Seoul became polluted, people began fetching water from farther away. Carrying water became the work of women, servants, and children. Eventually, a class of male laborers known as “water sellers” emerged, who carried and sold water professionally. After Korea’s ports opened, these water carriers were often photographed by foreign visitors.

Modern water supply in Seoul began when American entrepreneur Collbran and British engineer Bostwick, who also ran the city’s tram business, received a royal concession from King Gojong. In 1908, they began supplying 12,500 tons of water per day from the Ttukdo intake point to central Seoul and Yongsan. Within five years, one-third of all Seoul households were using the new waterworks. Waterborne disease declined significantly.

But this progress came with costs. Well water had been free except for the labor of fetching it, while piped water required payment. Not every home was directly connected, so the water delivery trade continued, along with new forms of water rights and licenses.

Even by the mid-20th century, the water supply rate in Seoul reached only about 50 percent, increasing to 85 percent by 1970. Yet suspicion about tap-water quality persisted well into the 1990s. Many residents boiled barley or cassia-seed tea before drinking. Still, the water fee was so low that water felt almost free. No one then believed that one day people would pay money to drink water. “Who would ever buy water?” they laughed. Today, everyone does. Water purifiers require annual maintenance costs; rental services charge monthly fees; bottled water is delivered or bought in bulk from supermarkets. An entire water industry was born.

Until the 1970s, few worried about pollution in the Han River’s upper reaches. Water treatment then consisted of simple sedimentation and mild chemical coagulation—enough to remove most bacteria. But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came chemical and industrial wastewater that these methods could no longer purify. By the 1980s, water taken from below the Jamsil Weir was no longer usable for drinking, and the intake stations were moved upstream.

Contrary to the common belief that the Paldang Dam provides clean water to all ten million Seoul citizens, actual distribution is more complex. The Pungnap intake supplies Yeongdeungpo District, the Amsa intake serves Gangdong and Gangnam, the Ttukdo intake supplies Jung, Yongsan, and Seongdong, and the Gangbuk Arisu Center in Deokso and Sampae provides for Nowon, Eunpyeong, and Gangbuk. Only Songpa and parts of Gangdong receive water directly from the Gwangam intake at the Paldang Dam.

The area upstream of Paldang is under multiple restrictions: greenbelt zones, water-source protection laws, agricultural preservation areas, and strict building-coverage limits. For the sake of the public good, residents there face severe limits on their property rights, unlike those in nearby cities such as Yeoju, Icheon, or Gwangju. To share the burden, Seoul citizens pay an additional water-use levy of about 150 won per ton. These funds are distributed to upstream regions for flood control,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community support—such as road paving, sports facilities, farm machinery purchases, landscaping, and arts education. Yet the largest share of spending goes to buying land within one kilometer of the river to convert it into green zones, effectively keeping the upper Han pristine for Seoul’s sake.

Paradoxically, most Seoul residents drink water drawn below the Paldang Dam. Water from Hanam, Namyangju, Jinjeop, Maseok, Guri, and Deokso all merges there. Even if Paldang’s upper region is tightly controlled, can the Han really remain clean when tributaries from Gwangju and Yongin—home to factories—flow in unregulated? The rivers of Yeoju and Icheon merge upstream, too, and Icheon hosts major semiconductor plants. Their photoresist chemicals are toxic, though we trust they are properly treated. Further upstream, the Chungju Dam area—famous for its apples—fills the air with pesticide mist during the growing season. Can every such activity truly be controlled?

In truth, the notion that protecting the Paldang reservoir alone safeguards the water for ten million people is only a half-truth—a hand shading the sun. The real degradation of the Han stems from the 1970s New-Deal-style public-works experiments: dams that slowed currents, accumulated silt, and disrupted tributary management, combined with unchecked industrial sprawl.

Seoul citizens still drink chemically treated water drawn below Paldang. Korea’s rapid development was never free; we have paid its cost ourselves. Alarmingly, even the Amsa and Ttukdo intakes are becoming polluted, and plans are under review to merge all intakes farther upstream toward Deokso and Sampae. But distance raises costs: the farther the source, the more expensive the supply.

Few people today remember why the Han’s shape was altered in the first place. Most of those who built it are gone or in their nineties, and even they admit they did not fully understand the long-term consequences of their work.

To say “we must protect the Han River’s water” sounds righteous, but the slogan hides the deeper causes. The logic that keeping the Paldang reservoir at Class-2 water quality will save the river is shallow. Political rhetoric must be filtered carefully—just as tap water passes through a purifier, so too must information and speech be strained through critical reflection.



◼︎ Floating Island: The Wandering Earth

Beside Yanggeun Island in Yangpyeong lies a small islet, now cut off by rising water levels.
According to legend, soil carried downstream from Chungcheong Province along the Namhan River accumulated there, forming what came to be called “Tteodeurang Island,” meaning “the floating island.”
Though the tale sounds mythical, like Ulsan Rock’s origin at Mount Seorak, myths often contain fragments of truth preserved as cultural symbols.

After the Korean War, reconstruction along the Han River meant civil engineering.
About 58 percent of the national budget immediately after the war was spent on construction works.
In the national consciousness, “civil engineering = reconstruction = modernization.”
That developmental formula continued well into recent decades.

Modern control of the Han bega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when dams were built for hydroelectric power to support the Pacific War.
In the Han River basin, the Hwacheon Dam and Cheongpyeong Dam were both completed in 1944.
Other hydroelectric projects across Korea served as experimental testbeds for technologies Japan had not yet tried on its own soil.
The colonies became laboratories: techniques proven in Korea and Manchuria were later applied in Japan proper.
Korean engineers and soldiers who had worked in Manchuria returned after liberation and became major figures in the new republic—one of them being Park Chung-hee.

During the colonial period, dam construction had not yet transformed the Korean landscape on a large scale.
The decisive turning point came in the late 1960s with the planning and completion of the Soyang Dam in 1974—one of three major national projects personally overseen by the president.
At that time, it was the largest rock-fill dam in East Asia, not a concrete gravity dam but one made of piled stones and sand.
From that point onward, the geography and ecology of the Han changed dramatically.
Like in the colonial era, these massive state-led engineering projects were justified by the rhetoric of flood control and water supply but also served another goal: to domesticate and nationalize modern construction technology—a kind of Korean New Deal for industrialization.

Because there were no experienced civil engineers in Korea, the initial designs relied on French and Japanese experts.
However, construction was undertaken by domestic companies with no prior experience.
They imported expensive machinery and learned on the job.
The technologies proven during the Soyang Dam project later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nation’s construction industry.
At the center of this rise was Hyundai Construction, whose young president would one day become Korea’s president and initiate the Four Rivers Project—a striking historical echo.

At the time, industrialization through engineering was seen as a moral good—a way to transform a poor agrarian nation into an industrial powerhouse.
People devoted themselves earnestly to the cause of national progress.
Yet in the myth of modernization, the lives of river communities were omitted.
It was his-story, not our story.
The heroes’ stage was Seoul; the rural upstream regions became the supporting cast in the narrative of national triumph.

The construction boom of the 1980s and 1990s led to a nationwide shortage of sand and gravel.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commissioned a massive research project on aggregate extraction from the Namhan River between Yangpyeong and Yeoju.
Vast quantities of gravel and sand were dredged, sucked up through giant pipes.
Where did all that golden sand and gravel go?
Most likely, it now lies embedded in the concrete of the apartment blocks built during those decades.

Today, in the 2020s, Yangpyeong’s farmlands are being filled by countless dump trucks, their soil leveled and reshaped.
With the aging of landowners and the decline of farming profitability, few wish to cultivate the fields.
Land value rises faster than crop yields.
To sell at a higher price, people fill and regrade their farmland.
But where does all that soil come from?
Nearby, new cities are being built in Namyangju and Hanam.
According to one elder with connections in the construction trade, nearly six million truckloads of earth from those sites have been brought into Yangpyeong.
Though unverified, the figure reflects the immense scale of soil movement felt locally.

Soil, it turns out, has legs.
It travels—from countryside to city, from river to mountain—mixed, packed, and displaced.
Even now, hills are being cut down to build apartment complexes; the good soil from these sites is hauled away to other projects.
Yangpyeong’s earth drifts everywhere.
This wandering soil is a metaphor for the self-sacrifice of peripheral lands that give their very substance to sustain the myth of urban development.


◼︎ The Ancient Imagination of the Han River

During conversations with elders in Yangpyeong, they recalled the shallow waters and varied rocks of Yanggeun and Obin before the dams were built.
Each rock had its own name and use: wide stones where women washed clothes, called “Laundry Rocks”; rocks where the ssogari fish gathered, called “Ssogal Rocks”; playful stones children loved to climb, called “Bellybutton Rock” or “Ong Rock.”
All are now submerged beneath the raised water level.


“One time in the 1970s,” an elder recalled, “a seal swam up the river and climbed onto Ssogal Rock. The police tried to catch it but couldn’t. Around that same time, when I was about seventeen or eighteen, a dolphin also came up the river—it got stuck in a rapid. From the mountain, I could see a big dark creature moving in the water.”

At first, I thought these stories were exaggerated.
But in Jasan Eobo by Jeong Yak-jeon, there is mention of a sea creature called sanggwang-eo—a shining fish with a face like a human—that occasionally swam up the Han from the Yellow Sea.
Even in recent decades, similar marine animals have been found dead near the river’s estuary weirs.
Perhaps the sanggwang-eo the elders spoke of was indeed a dolphin that once swam freely up the Han before the dams were built.

When the Han River still connected seamlessly to the West Sea, there was no reason sea creatures couldn’t travel inland as far as Geumgangsan.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Hwacheon and other northern dams, such migration was entirely possible.

Today, the Han is segmented by multiple weirs and dams, surrounded by restricted zones under water protection laws.
It has become a river to be observed from afar, not touched.
Invisible borders of power, electricity, ideology, and security now line its course.
For the past century, our imagination has been quietly confined; we have forgotten that the sea once climbed the river, that boundaries were once fluid.

Through interviews with elders who lived along the Namhan River, I was able to reconstruct an image of the river as it once was—vibrant and alive.
Unlike the calm surface we see today, it changed dramatically with the seasons.
The water was transparent, and the riverbed was filled with sand and pebbles.
It was a river of generous giving: providing irrigation, recreation, fish, and memories.
Children swam across the narrow stretches to neighboring villages.
Rapids alternated with calm ferry crossings that supported transport and trade.
Villagers cultivated wheat and barley on the unclaimed floodplain fields, harvesting before the monsoon arrived.
During the off-season, they held cheon-ryeop—village festivals by the river—to celebrate the year’s hard work.
Children led oxen to graze along the riverbanks.
Though life was laborious, the elders described their youth as happy.

After the completion of Paldang Dam in 1973, the water level rose gradually, and one day, the rapids were gone.

I asked one elder, “Surely something must have improved after the dam was built?”
He replied, “Nothing improved for our village. What did we gain? The places where we used to wash, catch fish, play—all gone. Now everything is restricted. There’s nothing left for us to do.”

Another said, “When I was young, my father and uncles would dive into the river and catch ssogari fish, slice them for sashimi, and share it with me. I still dream of those days dozens of times a year. I want to live like that again.”

With the rising water, not only the rocks and rapids disappeared, but the very names and stories tied to them vanished as well.

The so-called Han River Comprehensive Plan that once promised to lay the foundation for modern riverside development triggered a chain reaction.
Seoul’s public riverbanks were reclaimed and sold to fund further roads and levees.
Dams and weirs were built for flood control, water supply, and a little power generation.
As water levels rose, currents slowed; sediment accumulated; pollution worsened.
Sand was dredged for concrete; cities expanded; water quality declined further.
Intake stations were closed one by one and moved upstream.
The upper Han region faced stricter development bans.
Boats, fishing, swimming, and farming were prohibited.

Today, cars line Route 6 along the Namhan River, their passengers sipping coffee while admiring the tranquil view.
The beauty of the river can no longer be touched; it can only be seen from afar.
Up close, one finds only green algae and floating debris.
The sand once dredged from the river lies in the concrete of cities, while the soil excavated from those cities now fills Yangpyeong’s fields.
The farmlands are then turned into new housing sites.

Once we begin altering the river, it becomes impossible to stop.
Each dam leads to another, each pollution to more chemicals, each protection policy to tighter restrictions.
Future generations, growing up with this fixed, fenced-off river, will believe it was always this way—just as today’s children think masks have always been a part of daily life.
The Han River has become untouchable, an “un-touchable” river.

And yet, why do native dolphins from the West Sea still try to swim upstream, crossing the weirs only to die trapped within?
What message were they trying to leave through their deaths?
Perhaps they came to awaken in us the long-forgotten imagination of the ancient Han River.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CV

최형욱 Heonguk Choi_ KINGWORK STUDIO   While working as a visual artist, I have planned and operated public art and art education projects. I've been working on the installation with an interest in the concept of place and shelter. In particular, with a sense of how to welcome children as refugees in the public, we are working with fellow artists to create an artist cooperative team called Bindoong Play and work on an experimental playground that children can make themselves in a Korean context. I am  2024-26 Resident Artist, Rijksakademie van beeldende kunsten in the Amsterdam.  I worked as an artist in the 2019 Kim Jong-young Museum of Art's Young Creative Artist individual exhibition, the 2016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oyang Residency artist, and the 2014 Sturndas Museum residency in Finland.  #KingworkStudio #Artist Choi Heong uk#VisualArtist #ArtEducationActivist #CommunityDesign #PublicArtProject #Carpenter#PlaygroundDesign#Seoul ArtsEducat...

2018 Design for the outskirts, the Farm ware house

쌀의 독백: 일시적 식구 Monologue of Rice: Temporary Mouths to feed 2018 .  5 .  18 – 5 .  27 경기상상캠퍼스 "여기서 텃밭농사 지은 지 10년 되었어. 물이 안 나와서 힘들어ᅠ 수도는 니기랄 돈이 한 달에 백만 원씩 나오는데 어떻게 ?  농사 뭐 하러 지어? 차라리 사먹는게 낫지. ᅠ 물이 잘 나오면 돈이 들어도 지하수 파겠는데 팠다가 안 나오면 말짱 황이잖아.  옛날에는 지하수 물이 잘나왔어.  재활용센터 짓고 나서는 잘 안 나와. 저게 지하 8층이야.  지하에 물줄기가 다 끊긴 것 같아.  방수하고 머하고 하는 바람에 물줄기가 잘려 버렸어.”  (중랑구 거주 40년, 최 씨 어르신, 70대) 농지법 시행령상의 '농막'의 정의는 “농작업에 직접 필요한 농자재 및 농기계 보관, 수확농산물 간이처리 또는 농작업 중 일시휴식을 위하여 설치하는 시설”(전체면적 20㎡ 이하이고, 주거목적이 아닌 경우로 한정한다.)이다. 하지만 도시 변두리 지역의 실재 농막의 숨은 정의는 좀 더 복잡하다. 유명인사들이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고 자숙의 기간 숨는 공간이기도 하며, 주말 농사를 짓는 도시민들에게는 주말에 친구들과 모여 잔치를 열 수 있는 아지트가 되기도 한다. 또한 불법이긴 하지만 상당수의 농막은 실제 오갈 곳 없는 많은 사람의 피난처 역할을 한다. 실제로 서울 변두리의 그린벨트 지역에서 농막을 지어 놓고 도시와 경계의 삶을 오가는 70대 어르신을 우연히 만났다. 평일에는 냉동차 운송 일을 하시고 일이 없는 날이면 농막에 나와 밭을 돌보신다. 땅 주인에게 일 년에 쌀 한 가마니 정도 세를 내면 아무런 간섭을 받지 않는다고 한다. 언제든 나가라면 나갈 수...

2015 Communutie Art Story, From Physical Place to The People

2015 삼성미술관 리움아트클라스 강의안 물리적 장소에서 사람으로 향하는 미술 : 미술에서 장소성 개념의 변화  최형욱  프롤로그 어디에 있는가 ? 어디에 사느냐 ? 라는 것은 많은 문맥과 함축적 의미를 포함한다 . 모든 상황은 문맥이 중요하다 . 장소를 묻는 다는 것은 단순히 물리적인 장소를 알아보는 것 이상의 문맥과 상황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는 것이다 . 장소성과 미술이라는 주제는 ‘ 미술이 어디에 놓이느냐 ?’ 라는 문제를 제기한다 . 어디에 놓이는가 라는 질문은 곧 ‘ 누구를 위해 제작되느냐 ?’ 로 이어지고 주문자나 수용자에 대한 문제를 전제로 한다 . 예술이 ‘ 누구를 목적 삼느냐 ’ 라는 이 질문은 예술의 근본적인 전제 , 즉 ' 누가 누구를 위해 제작하고 왜 제작하는가 ’ 라는 것을 묻는 것이기 때문에 상당이 복잡한 논쟁을 제기한다 . 영어로 'Take place' 라는 문구는 ' 사건이 일어나다 ' 를 의미한다 . 장소는 사건이나 스토리 역사가 일어나는 현장이다 . 1. 미술과 장소가 하나였던 시대 라스코 동굴벽화 원시미술 , 종교건축 , 궁정미술 등에서 장소와 미술은 분리될 수 없다 . 종합적인 경험으로써 장소를 만들었다 . 원시미술부터 프레스코화 , 중세 , 르네상스 , 바로크 시대의 성당 , 궁정 건축물들을 아우른다 . 특히 서양의 성당이나 궁정 건축물에서 조각 작품은 건축과 분리 될 수 없었다 . 조각작품은 건축의 요소였고 일부였다 . 르네상스 이전에는 현대의 우리가 생각하는 개념의 예술이 거의 없었다 . 오늘날 우리가 디자인이라고 부르는 것은 수공예로 손수 생필품을 만드는 것 이었고 , 종교예술은 제의를 위한 도구였다 . 장인들의 길드 조직도 생필품 길드부터 금속공예가 길드에 이르기까지 위계나 구분이 없었다 . 모두 같은 장인들의 조합이었다 . 그리고 미술 작품은 건축 안에 종속되어 있었다 . 건축이나 장소를 떠나 따로 이동과 판매 가능한 미술 작품이 거의 없었다 . 2. 미술 ...

2012 A Gulag for my kids, 2nd Solo Exhibition

내아이를 위한 굴라크 최형욱 개인전 내아이를 위한 스마트폰 사용 훈련기  A smart phone training system for my kids,  Wood Steel Timer, 96.5x82.6x60.5cm, 2012 서울문화재단 문화숲 프로젝트  가든파이브 아티북 갤러리 2012. 11.02 - 2012. 12. 30 최형욱 작가는 아주 사소한 생활용품,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집기와 물건들과  길거리에서 마주 칠 법한 장면들 속에서 관습, 도덕, 상식, 진지함 등 사회적인 상위가치와 경박함, 가벼움, 쓸모 없음, 사소함 등의 하위가치가 충돌하는 모습을 포착하여 이를 페인팅으로 옮기거나 설치와 조각장치로 표현한다. 그는 이러한 이중적인 속성 속에서 동시대의 리얼리티를 발견하고자 한다.  인격적 셀프체벌기계 A moral machine for self punishment,  Wood Electroic motor ,30x26x75cm 2012  인격적 셀프체벌기계 사용설명서  Guide of a moral machine for self punshment 예의바른 교무실 출입장지  A doorway device for making courteous children,   Wood Steel, 101.2x73.5x28cm, 2012 이번 “내 아이를 위한 굴라크”전은  아이 와 그 대립각에 있는 양육자, 훈육자, 교육자 관계에  빗대어 사회적  상호 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그의 특유의 조형언어로 표현 한 전시 이다.  굴라크Gulag 는 구 소련의  교정 노동 수용소 관리국의 약칭이며 강제 노동 수용소를 의미한다.돌보는 자와 돌봄을 당하는 자로 부터 시작한 사회의 기초단위는  학생과 ...

2014 It!Taewon : The Geography of sense Project

It!Taewon : The Geography of sense_Silks creen on steel_200x200cm_2014 잇태원 : 감각의 지도 프로젝트  기획   인사이트씨잉 (조성배, 나광호, 이정훈, 최형욱)  디자인  살몬  번역  엄규희  교정  방유경 영상편집  한연수 후원   삼성문화재단 / 삼성미술관 기간   2014. 1.1 - 2014. 8.18 참여주민 구승회, 국종훈, 곽호빈, 김순옥, 김연경, 김영자, 김오동, 김종윤, 김철용, 나정은, 동운용, 박혜라, 송옥순, 윤순호, 은조미용실 사장님, 이광호, 이남순, 이민아헤어테크 사장님, 이세진, 이원석, 이한준, 이항종, 이회석, 우금화, 원흥재, 정수진, 진식, 홍만기, 남부경로당 정씨 어르신, 동원부동산 할머니, 미영사 세탁소 사장님, 보광로 55-7 어르신, 북부경로당 할머니 회장님, 수도부동산 사장님 어머니, 오성문구 사장님, 어머님 공원 할머니들, 영스타헤어센스 파마하러 오신 할머니, 일심 경로당 어르신들, 일심 경로당 할머니 회장님, 전진열쇠 사장님, 진미식당 주방 어머니, 챔프커피 사장님, 태창철물건재 사장님, 하얏트호텔 노동조합사무실 위원장님과 사무장님, 한남 철물점 사장님, David Campbelle, Kang Melanie, Tahar Leeum 10th Anniversary Exhibition Beyond and Between, Photographed by Hyunsoo Kim 사람이 장소에 먼저 살고 그 다음에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지도가 만들어 졌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권력적인 속성과 여러 다양한 집단의 욕망들이 지도를 통해 투영되면서 실제 거주자의 장소에 대한 생각과 상관없는 기획들이 지도 위에 표시된다. 내 삶과 상관없이 내가 사는 장소는 익명으로 표시되거나 행정적인 명칭으로 획일화 되어 표시 되곤 한다. 그리고 지도...

2018 Conviviality Seongsu

  2018 인사이트씨잉 프로젝트 Conviviality Seongsu 2018 서울상상력발전소 빠른 발, 따라가는 시선  2018. 9. 13. THU _ 9. 21. FRI 성수동 에스팩토리 A동 참여작가: 인사이트씨잉(조성배, 이정훈, 최형욱), 김상진, 이예승,  조성현, 지누박, 진달래&박우혁, 허나영, 세운_여인혁, 세운_프래그랩 주관 및 후원 : 서울문화재단 이번 프로젝트는 성수동의  제작문화를 리서치  했던 2015년 <페키트  : 성수동 프로젝트>의  연장 선상에서  기획되었다 . 그 당시  젠트리피케이션이  진행 초기 단계였던 성수동 지역에서 구두제작산업의  종사하시는 분들을 만나 고 인터뷰 하면서 그분들의  보이지 않는 그물망을 따라가고 그분들의  언어와 일과 도구와 네트워크들을 설치미술 작업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작업이었다. 3년이 지난 시점에서 다시 방문해 본  성수동 지역은  새로 유입되는 구성원들과 기존의 쇠락해가는 산업 구성원들 간의 간극이  더욱  심화된  양상이었다. 서울시와  여러 기관의  수제화 거리 띄우기 작업에도 불구하고 구두산업 종사자 분들  누구도  이 산업의 미래를 낙관하는 분이 없었다.  심화된   젠트리피케이션은  임대료 상승을 빠른 속도로 부추기고 있었고 “구두 부자재 거리”에서 “뚝섬공원”으로 이어지는 벨트를 중심으로 건물주들은 기존의 임대차 계약이 종료되는  시점만을  기다렸다가 구두, 가죽, 기계 관련 산업이 아닌, 더 높은  월세를  지불하고자   하는   입주자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구두 산업은 중국산 제품에는 가격 경쟁력에서 밀리고 명품 프리미엄 제품으로 승격되기에는 인식의 부족, 디자인의 부족 등...

2017 Group InsightSeeing Lecture: Map of the Senses_Maps and Placeness

○ 일시 : 2017년 10월 31일  ○ 장소: 서울시 성북구 국민대학교 예술관 116호 Q1. 인사이트씨잉 어떻게 시작되었나 ? 인사이트씨잉은 2012 년에   경기도지역에 모 작가 작업실에 친한 선후배 작가들이 모였다가 우발적으로 시작된 모임이었습니다 . 여러가지 아이디어 회의 겸 수다 떠는 모임으로 출발하였습니다 .  돌이켜보면 졸업 후 힘든 창작자로써의 생활에 대한 스트레스를 풀기 위한 목적이 컸던 것 같습니다 .   그 한해 동안 여러 프로젝트 기획안들을 작성하였고 개중에는 운좋게 1 차 심사를 통과하였지만 여러 번 2 차 면접에서 고배를 마시면서 꽤많은 미완의 프로젝트 기획서들이 축적되었습니다 .   그러다가   2012 년 가을  , 나광호 작가가 입주해 있던 경기창작센터에서 공공미술 프로젝트가 있어서 거기에 협력 팀으로 참여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프로젝트를   실행하게 되었습니다.    Q2. 작업의 주제 WHAT? 저희 팀은 ' 장소 ' 에 대한 이야기를 수집하는 프로젝트들을 수행해 왔습니다 . 특히 장소를 시각적으로 구성하는 지도라는 개념 자체에 관심이 많이 있었습니다 .   예를 들면 연인이 통화할때 주로 첫 마디는 " 어디있어 ?" 입니다 . 상당이 복잡한 뉘앙스를 풍기는 질문이지요 . 이때   ' 어디에 있다 ' 라고 대답할때 특별히 신중해야 합니다 . 이렇게 어디에 있다라는 질문은 어떤 맥락에 위치해 있느냐에 따라 상당히 다른 이야기들을 유추할 수 있게 합니다 . 장소는 단순히 독립적인 하나의 부분이 아...

2017 Preliminary research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experimental playground'

[시리아 내전 폭격 후 웅덩이에서 놀고 있는 아이들_2016] “실험놀이터” 실행을 위한 사전 연구 1. 프로젝트 개요  ○제           목 :   (가칭) “실험놀이터” 실행을 위한 사전 연구 ○기           간 :   2017.10.01 – 12.22 ○장           소 :   경기도 oo군 일대 ○사업     내용 :   지역 기반 리서치 연구, 책자 발간, 시뮬레이션 모형 제작, 전시  ○주관 및 후원 :   oooo재단 oo문화사업단 ○기획 및 실행 :   최형욱(시각예술가, 예술교육가) 2. 기획의도 놀이를 잃어버린 사회 ‘논다’는 행위는 “개인이 자신이 처한 환경에 적응을 도모”하는 가장 기본적인 문화적 활동입니다. 놀이는 다양한 경험을 하고 배우며 가능성을 시험해 보는 행위입니다. 사실 아이들만 노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서 자기 주도적으로 창조적인 일을 하는 어른들도 기본적으로 이러한 행위를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쟁 후 사회가 복원되는 시기 환경은 지금보다 훨씬 열악했지만 지금의 어른들에게는 느슨한 공간과 시간이 있었습니다. 스스로 조직하고 만들고 탐험하는 행위를 통해서 아이들은 아무것도 기댈 것 없는 사회에서 자신의 삶을 일구고 사회적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그러한 어른들이 보기에 스스로 놀이를 조직하고 자연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아이들을 보며 ‘요즘 아이들은 놀 줄 모른다’라고 말합니다.  그런데 관점을 약간 달리해 보면 모든 세대의 아이들은 언제나 놀기를 열망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아이들의 욕망을 제거한 건 아이러니하게도 어른들입니다. 도시의 장소는 ...

# What is the Adventure playground : in the context of Bindoong play

유엔 아동권리협약  31조 | 여가와 놀이 | 우리는 충분히 쉬고 놀 권리가 있습니다.  모험놀이터는 기존의 고정된 놀이터와 달리 일견 무질서해 보이지만 아이들이 스스로 상상력과 한계를 실험해보며 진짜 놀이를 만들 수 있는 장소를 의미합니다. 기존의 도시 공원녹지과에서 관리되는 놀이터들은 제도 아래 일정한 행위들을 제한하고 있지만, 모험놀이터는 플레이워커의 보호와 지원 아래 틀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놀이가 가능한 곳입니다. ○ 모험놀이터(Adventure playground)의 간략한 역사  2차 세계대전 중에 유럽의 폭격지에서 아이들이 노는 모습을 보고 영감을 받은 덴마크 건축가 쇠렌센(Carl Theodor Sørensen)은 코펜하겐의 교외에 폐자재를 방치해 놓은 엔드럽(Emdrup) 폐자재 놀이터를 개설하였습니다. 조경가이자 첫 번째 ‘플레이리더(play leader)’라고 할 수 있는 존 베텔센(John Bertelsen)은 단순히 안전 관리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의 경험과 기술을 지원해 더욱 폭넓고 다양한 방식으로 아이들의 제안들을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영국의 알렌(Allen)여사는 이 놀이터를 방문한 뒤 크게 감명을 받고 돌아왔습니다. 그 후 영국의 도심 곳곳의 폐허에 모험놀이터를 설립하자는 운동을 하였습니다. 1950-70년대 사이에 점차 스웨덴, 스위스, 프랑스 등 유럽국가 곳곳으로 모험놀이터 만들기가 확산되었습니다. 일본에서는 오무라겐이치, 아키코 부부가 1973년 알렌 부인의 책을 번역하면서 지역 부모들과 단기 놀이 프로젝트들을 진행하였습니다. 1979년 세타가야 구 ‘국제아동의 해’ 기념사업으로 민관 협동사업으로 일본 최초의 모험놀이터 ‘하네기...

2025 Dancing Flow of Microorganisms

1. Purpose I am writing to seek the understanding and support of the Rijksakademie community regarding my upcoming artistic research project. My goal is to present my work transparently and clearly to prevent any discomfort or misunderstanding. I sincerely appreciate your consideration and support in this matter. 2. Project Overview Title: Dancing Flow of Microorganisms This project is an experimental exploration of permaculture and ecological cycles. Specifically, I propose to construct a small treehouse at the southwestern edge of the Rijksakademie garden. This structure will function as a composting toilet, integrating a sustainable waste recycling system. The project aims to collect organic waste—including human waste from the Rijksakademie community, garden byproducts, food scraps, paper waste, and sawdust—and process it into nutrient-rich compost. Once the construction is complete, I will oversee the collection and composting process until the end of 2026, carefully managing th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