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025 Dancing Flow of Microorganisms

2022 Three thousand miles in search of father


아빠찾아삼만리 프로젝트


기획 

윤푸름, 최형욱

함께한 사람들

강득주, 김동준, 유태선, 이다운, 이준걸, 홍석준

특강 및 장소협찬

김일수

행정기획 박신애

홍보 및 아카이빙 송유경 

디자인 바이핸즈 

교정교열 최영아

영상 pageB 안진우

후원 서울문화재단

발행처 Younpuluem project group



프롤로그 


2022년 <아빠 찾아 삼만리> 프로젝트는 지금은 폐관된 서울문화재단 관악 어린이 창작놀이터에서 진행되었던 ‘예술로 부모 플러스’ 프로젝트의 연장선에서 시작되었다. 2018년~2021년까지 예술가들은 아버지와 자녀와 함께 예술의 언어로 만나는 워크숍을 기획하고 진행하며 서로에 대해 마주하는 시간을 가져왔다. 그러나 그 사이 발생한 팬데믹 상황은 예기치 않게 장기화되면서 문화예술 콘텐츠를 생산하는 기획자 입장에서 예술과 만남의 방식에 대해 재고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기존에 프로그램 위주로 진행하던 예술교육 워크숍 방식 자체를 다시 생각하게 되었고 예술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생산물과 결과물에 집착하는 방식에 대해 의문을 던지기 시작하였다. 


일반적으로 자녀와 함께하는 아빠 대상의 예술교육 워크숍을 모집하면 열중 아홉은 엄마가 신청을 하였다. 주말 아침, 아버지는 무거운 몸을 일으켜 세우고, 주중에 자녀와 함께 하지 못했다는 부채 의식과 아내의 기대에 떠 밀려와 워크숍 장소에 힘겹게 착륙하는 아버지들은 대부분 착하고 성실한 분들이었다. 그 무거운 어깨에 예술교육이라는 짐을 하나 더 얹혀 드린 셈이었다. 자녀를 위해, 가족의 기대를 위해 휴일을 반납하고 열심히 노력하시는 아버지들을 보면서 감사하기도 했고 한편으로는 무언가 진짜 이야기를 만나고 있지 못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진짜 그분들의 속 마음을 듣기에는 워크숍 시간은 너무 짧았고 그저 즐거워하는 자녀를 보며 흐뭇한 표정을 지으시곤 곧장 집으로 돌아갔다. 결국 아무런 사건도 발생하지 않은 것 같았다.









‘아빠’라는 단어의 실체는 무엇일까?



우리 사회와 국가공동체는 아버지라는 단어에 어떤 공통된 규범을 기대하고 있다. 시민예술교육 워크숍에 나오신 아버지들은 그 규범의 기준점에 최대한 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계셨다. 하지만 정말 그것이 아버지의 실체일까?


아버지들은 아버지이기 전에 한 사람의 개별적인 주체이다. 개별적인 주체들은 저마다의 삶의 방식과 가치를 가지고 있고 어쩌면 아버지라는 단어를 제외하곤 공통점이 거의 없는 사람들임이 틀림없다. 우리는 규범을 공유하지 않은 타자들끼리 서로 말을 걸고 대화를 하는 것 자체가 공동체적 합의가 무너진 시대 가장 필요한 예술적 행위가 아닐까라고 생각했다. 


나를 포함한 우리는 중년의 남자들이다. 거기다 결혼한 지 십여 년 정도 되었고 미취학, 취학 자녀들도 있다. 생각도 고집도 제 각각이고 사는 방식, 지위, 경험, 습관도 모두 다 다른 사람들이다. 그러한 사람들을 뭉뚱그려서 ‘아버지’는 이러한 거야. 좋은 아빠는 이런 것이야 라고 떠들어 대는 강의를 할 수는 없었다. 아버지라는 이름으로 모였는데 아버지의 실체에 접근할 수 없는 역설을 경험하게 된다. 






우리는 다양한 아버지의 실체에 접근하기 위해 부러 기존의 고정된 아버지 상에서 빗겨나가 있는 아버지들을 찾기 시작하였다. 사실 고정된-비 고정된 개념 자체의 구분이 우습긴 하지만 다만 주체성을 가지고 기존의 사회적 통념과 다른 삶의 방식을 살기 위해 모색 중이거나 잠시 멈추어 본 경험을 가지고 있는 아버지들을 찾아 대화하고자 하였다. 


사회와 처가댁은 대체로 이러한 종류의 성인 남성을 달갑게 생각하지 않는다. 

아이가 줄줄이 달려있는데 멈추다니? 다른 길을 모색하다니? 나다운 삶을 찾기 위해 연봉 높은 직장을 그만두다니? 제정신인가? 아빠가 정말 이렇게 살아도 될까?





고레다 히로카즈 감독의 <어쩌면 일어날지도 몰라 기적>이란 영화를 보면 주인공 아이는 거의 백수 같은 인디 뮤지션인 아빠에게 전화를 걸어 빨리 엄마와 재결합하라고 채근을 한다. 그러자 아빠는 “나는 네가 더 큰 일에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어. 예를 들면 음악이라든가 세계라든가...”라며 다소 뜬구름 잡는 이야기를 한다. 또 인디음악이 뭐냐는 아들의 질문에 ‘앞으로 더 열심히 하라는 음악’이라고 답변을 해준다. 


어쩌면 아빠는 고정된 기능과 역할에 대한 것이 아니라 존재적으로 아이와 관계를 맺고 어떤 씨앗을 ‘툭’ 던져주는 사람이 아닐까? 사회적 기능으로 치자면 많이 부족할 수도 있고 무언가 빠져 보일 수 있는 사람이지만 저마다의 방식으로 자신의 길을 찾으며 사회 속에서 작은 움직임과 희망 같은 것들을 만들어 가는, 그래서 세상이 조금은 살만한 곳이구나 하는 느낌을 조금씩만 만들어 줄 수 있다면 그것만으로 대단한 일이 아닐까? 그리고 아이들은 그 씨앗을 가지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 아닐까? 


우리는 아버지라는 실체에 접근하기 위해 우발적인 대화를 시도하였다. 대화 속에서 서로를 발견하고 새로운 만남과 사건들이 발생하기를 기대하였다. 한창 육아로 혹은 자신의 일로 바쁘고 지친 삶을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맨 정신으로 중년의 남성들이 밤마다 몇 시간씩 대화를 나누었다. 이 자체가 매우 기이한 풍경이었다. 


곳곳에 꼭꼭 숨어 있어서 아직까지 새로운 종으로서 아빠들은 많이 발견되진 않았지만 우리가 만난 아빠들은 새롭게 재생산되고 있었다. 기존의 관습적인 역할과 기대를 벗고 자신의 삶의 방식을 새롭게 찾아가고 있었다. 





새삼스럽게 주부(主婦)의 정의를 찾아보니 다음과 같았다. 

‘사전적 의미로는 일반적으로 한 집안의 살림살이를 맡아 꾸려 가는 안주인을 가리키며, 가정신앙과 관련해 의례를 주관하고 직접 의례 수행자가 되는 한 집안의 핵심 여성을 일컫는 말.’이라고 한다. (한국 민속 대백과사전) 


의식과 의례용 음식을 준비하고 한 집안의 살림살이를 꾸려가는 일. 조선 유교사회에서 주로 여성의 일이었다고 하지만 좀 더 고대로 거슬러 올라가 보면 주로 사제나 신전의 제사장이 집전하던 일임을 알 수 있다. 성별 역할이 아닌 한 집안의 집례와 의식 그리고 경영을 책임지는 역할이 주부의 일인 것이다.


현대산업사회에 이르러 주부의 신성한(sacred) 의미는 사라지고 국가 산업을 창출하는 가장을 보조하는 상대적인 기능만 남아버렸다. 그래서 더 이상 주부에서 어떠한 의미나 보람도 찾을 수 없게 되었다. 주방은 한 번도 요리한 적 없어 보이는 인테리어 사진용이 공간이거나 ‘부엌데기‘의 버려진 공간이 되었고 집안일은 집례나 신성의 의미와 전혀 상관없고 자동화시키거나 배달음식 따위로 회피해야 할 레지스트리화 되었다. 심지어 요리하는 남자도 산업적으로 고부가가치로 성공시킬 때에만 그 지위를 인정해 준다. 


이러한 맥락에서 집안에서 ‘주부를 하는 아빠’라는 타이틀은 스스로 위축되고 움츠러들게 만드는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그렇게 하등 한 의미로 전락된 주부(主婦)의 의미를 재전유(appropriation)하고 주체적으로 탈환하는 아빠들도 있었다. 







육아를 스스로 고객만족 서비스로 칭하고 영업전략을 끊임없이 연구하는 아빠, 자신의 육아일기를 한 땀 한 땀 인스타툰으로 그려 매주 꾸준히 올리는 아빠, 엄마들로 둘러싸인 근린과 지역사회 안에서 아빠로서 역할을 주체적으로 찾고 학교 폭력 문제와 어린이 놀 권리 문제를 주체적으로 해결하려는 아빠, 동네 살롱에서 음악회를 열고 연주를 하는 뮤지션 아빠, 시골에 휴직하고 머무르며 코로나 기간 육아하는 아빠들의 대화와 글쓰기 모임을 기획하고 모색하는 아빠. 대기업을 휴직하고 아이와 다른 삶의 공간과 시간을 갖고자 이주를 결심하고 주체적인 삶을 새롭게 모색하는 아빠! 이런 멋진 아빠들과 대화는 부가가치세로 환원될 수 없는 법이다. 



우리는 아빠에 대한 정의를 정량적으로 판단 내리기를 멈추고 유보해야 한다. 

아니 사실 세상에 대부분의 의미 있고 예술적인 일들은 대부분 정량적인 판단 내리기를 멈추고 유보해야 한다. 불확실함을 견디는 것. 모호함을 견디고 그 긴장 사이를 아슬아슬하게 파도를 타는 것. 이것이 대부분의 창의적인 사람들이 살아가는 방식이다. 




2022년 아빠 찾아 삼만리 기획자_최형욱(시각예술)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CV

최형욱 Heonguk Choi_ KINGWORK STUDIO   While working as a visual artist, I have planned and operated public art and art education projects. I've been working on the installation with an interest in the concept of place and shelter. In particular, with a sense of how to welcome children as refugees in the public, we are working with fellow artists to create an artist cooperative team called Bindoong Play and work on an experimental playground that children can make themselves in a Korean context. I am  2024-26 Resident Artist, Rijksakademie van beeldende kunsten in the Amsterdam.  I worked as an artist in the 2019 Kim Jong-young Museum of Art's Young Creative Artist individual exhibition, the 2016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Goyang Residency artist, and the 2014 Sturndas Museum residency in Finland.  #KingworkStudio #Artist Choi Heong uk#VisualArtist #ArtEducationActivist #CommunityDesign #PublicArtProject #Carpenter#PlaygroundDesign#Seoul ArtsEducat...

2018 Design for the outskirts, the Farm ware house

쌀의 독백: 일시적 식구 Monologue of Rice: Temporary Mouths to feed 2018 .  5 .  18 – 5 .  27 경기상상캠퍼스 "여기서 텃밭농사 지은 지 10년 되었어. 물이 안 나와서 힘들어ᅠ 수도는 니기랄 돈이 한 달에 백만 원씩 나오는데 어떻게 ?  농사 뭐 하러 지어? 차라리 사먹는게 낫지. ᅠ 물이 잘 나오면 돈이 들어도 지하수 파겠는데 팠다가 안 나오면 말짱 황이잖아.  옛날에는 지하수 물이 잘나왔어.  재활용센터 짓고 나서는 잘 안 나와. 저게 지하 8층이야.  지하에 물줄기가 다 끊긴 것 같아.  방수하고 머하고 하는 바람에 물줄기가 잘려 버렸어.”  (중랑구 거주 40년, 최 씨 어르신, 70대) 농지법 시행령상의 '농막'의 정의는 “농작업에 직접 필요한 농자재 및 농기계 보관, 수확농산물 간이처리 또는 농작업 중 일시휴식을 위하여 설치하는 시설”(전체면적 20㎡ 이하이고, 주거목적이 아닌 경우로 한정한다.)이다. 하지만 도시 변두리 지역의 실재 농막의 숨은 정의는 좀 더 복잡하다. 유명인사들이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고 자숙의 기간 숨는 공간이기도 하며, 주말 농사를 짓는 도시민들에게는 주말에 친구들과 모여 잔치를 열 수 있는 아지트가 되기도 한다. 또한 불법이긴 하지만 상당수의 농막은 실제 오갈 곳 없는 많은 사람의 피난처 역할을 한다. 실제로 서울 변두리의 그린벨트 지역에서 농막을 지어 놓고 도시와 경계의 삶을 오가는 70대 어르신을 우연히 만났다. 평일에는 냉동차 운송 일을 하시고 일이 없는 날이면 농막에 나와 밭을 돌보신다. 땅 주인에게 일 년에 쌀 한 가마니 정도 세를 내면 아무런 간섭을 받지 않는다고 한다. 언제든 나가라면 나갈 수...

2015 Communutie Art Story, From Physical Place to The People

2015 삼성미술관 리움아트클라스 강의안 물리적 장소에서 사람으로 향하는 미술 : 미술에서 장소성 개념의 변화  최형욱  프롤로그 어디에 있는가 ? 어디에 사느냐 ? 라는 것은 많은 문맥과 함축적 의미를 포함한다 . 모든 상황은 문맥이 중요하다 . 장소를 묻는 다는 것은 단순히 물리적인 장소를 알아보는 것 이상의 문맥과 상황에 대한 질문을 포함하는 것이다 . 장소성과 미술이라는 주제는 ‘ 미술이 어디에 놓이느냐 ?’ 라는 문제를 제기한다 . 어디에 놓이는가 라는 질문은 곧 ‘ 누구를 위해 제작되느냐 ?’ 로 이어지고 주문자나 수용자에 대한 문제를 전제로 한다 . 예술이 ‘ 누구를 목적 삼느냐 ’ 라는 이 질문은 예술의 근본적인 전제 , 즉 ' 누가 누구를 위해 제작하고 왜 제작하는가 ’ 라는 것을 묻는 것이기 때문에 상당이 복잡한 논쟁을 제기한다 . 영어로 'Take place' 라는 문구는 ' 사건이 일어나다 ' 를 의미한다 . 장소는 사건이나 스토리 역사가 일어나는 현장이다 . 1. 미술과 장소가 하나였던 시대 라스코 동굴벽화 원시미술 , 종교건축 , 궁정미술 등에서 장소와 미술은 분리될 수 없다 . 종합적인 경험으로써 장소를 만들었다 . 원시미술부터 프레스코화 , 중세 , 르네상스 , 바로크 시대의 성당 , 궁정 건축물들을 아우른다 . 특히 서양의 성당이나 궁정 건축물에서 조각 작품은 건축과 분리 될 수 없었다 . 조각작품은 건축의 요소였고 일부였다 . 르네상스 이전에는 현대의 우리가 생각하는 개념의 예술이 거의 없었다 . 오늘날 우리가 디자인이라고 부르는 것은 수공예로 손수 생필품을 만드는 것 이었고 , 종교예술은 제의를 위한 도구였다 . 장인들의 길드 조직도 생필품 길드부터 금속공예가 길드에 이르기까지 위계나 구분이 없었다 . 모두 같은 장인들의 조합이었다 . 그리고 미술 작품은 건축 안에 종속되어 있었다 . 건축이나 장소를 떠나 따로 이동과 판매 가능한 미술 작품이 거의 없었다 . 2. 미술 ...

2012 A Gulag for my kids, 2nd Solo Exhibition

내아이를 위한 굴라크 최형욱 개인전 내아이를 위한 스마트폰 사용 훈련기  A smart phone training system for my kids,  Wood Steel Timer, 96.5x82.6x60.5cm, 2012 서울문화재단 문화숲 프로젝트  가든파이브 아티북 갤러리 2012. 11.02 - 2012. 12. 30 최형욱 작가는 아주 사소한 생활용품,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집기와 물건들과  길거리에서 마주 칠 법한 장면들 속에서 관습, 도덕, 상식, 진지함 등 사회적인 상위가치와 경박함, 가벼움, 쓸모 없음, 사소함 등의 하위가치가 충돌하는 모습을 포착하여 이를 페인팅으로 옮기거나 설치와 조각장치로 표현한다. 그는 이러한 이중적인 속성 속에서 동시대의 리얼리티를 발견하고자 한다.  인격적 셀프체벌기계 A moral machine for self punishment,  Wood Electroic motor ,30x26x75cm 2012  인격적 셀프체벌기계 사용설명서  Guide of a moral machine for self punshment 예의바른 교무실 출입장지  A doorway device for making courteous children,   Wood Steel, 101.2x73.5x28cm, 2012 이번 “내 아이를 위한 굴라크”전은  아이 와 그 대립각에 있는 양육자, 훈육자, 교육자 관계에  빗대어 사회적  상호 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그의 특유의 조형언어로 표현 한 전시 이다.  굴라크Gulag 는 구 소련의  교정 노동 수용소 관리국의 약칭이며 강제 노동 수용소를 의미한다.돌보는 자와 돌봄을 당하는 자로 부터 시작한 사회의 기초단위는  학생과 ...

2014 It!Taewon : The Geography of sense Project

It!Taewon : The Geography of sense_Silks creen on steel_200x200cm_2014 잇태원 : 감각의 지도 프로젝트  기획   인사이트씨잉 (조성배, 나광호, 이정훈, 최형욱)  디자인  살몬  번역  엄규희  교정  방유경 영상편집  한연수 후원   삼성문화재단 / 삼성미술관 기간   2014. 1.1 - 2014. 8.18 참여주민 구승회, 국종훈, 곽호빈, 김순옥, 김연경, 김영자, 김오동, 김종윤, 김철용, 나정은, 동운용, 박혜라, 송옥순, 윤순호, 은조미용실 사장님, 이광호, 이남순, 이민아헤어테크 사장님, 이세진, 이원석, 이한준, 이항종, 이회석, 우금화, 원흥재, 정수진, 진식, 홍만기, 남부경로당 정씨 어르신, 동원부동산 할머니, 미영사 세탁소 사장님, 보광로 55-7 어르신, 북부경로당 할머니 회장님, 수도부동산 사장님 어머니, 오성문구 사장님, 어머님 공원 할머니들, 영스타헤어센스 파마하러 오신 할머니, 일심 경로당 어르신들, 일심 경로당 할머니 회장님, 전진열쇠 사장님, 진미식당 주방 어머니, 챔프커피 사장님, 태창철물건재 사장님, 하얏트호텔 노동조합사무실 위원장님과 사무장님, 한남 철물점 사장님, David Campbelle, Kang Melanie, Tahar Leeum 10th Anniversary Exhibition Beyond and Between, Photographed by Hyunsoo Kim 사람이 장소에 먼저 살고 그 다음에 공동체의 필요에 따라 지도가 만들어 졌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권력적인 속성과 여러 다양한 집단의 욕망들이 지도를 통해 투영되면서 실제 거주자의 장소에 대한 생각과 상관없는 기획들이 지도 위에 표시된다. 내 삶과 상관없이 내가 사는 장소는 익명으로 표시되거나 행정적인 명칭으로 획일화 되어 표시 되곤 한다. 그리고 지도...

2018 Conviviality Seongsu

  2018 인사이트씨잉 프로젝트 Conviviality Seongsu 2018 서울상상력발전소 빠른 발, 따라가는 시선  2018. 9. 13. THU _ 9. 21. FRI 성수동 에스팩토리 A동 참여작가: 인사이트씨잉(조성배, 이정훈, 최형욱), 김상진, 이예승,  조성현, 지누박, 진달래&박우혁, 허나영, 세운_여인혁, 세운_프래그랩 주관 및 후원 : 서울문화재단 이번 프로젝트는 성수동의  제작문화를 리서치  했던 2015년 <페키트  : 성수동 프로젝트>의  연장 선상에서  기획되었다 . 그 당시  젠트리피케이션이  진행 초기 단계였던 성수동 지역에서 구두제작산업의  종사하시는 분들을 만나 고 인터뷰 하면서 그분들의  보이지 않는 그물망을 따라가고 그분들의  언어와 일과 도구와 네트워크들을 설치미술 작업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작업이었다. 3년이 지난 시점에서 다시 방문해 본  성수동 지역은  새로 유입되는 구성원들과 기존의 쇠락해가는 산업 구성원들 간의 간극이  더욱  심화된  양상이었다. 서울시와  여러 기관의  수제화 거리 띄우기 작업에도 불구하고 구두산업 종사자 분들  누구도  이 산업의 미래를 낙관하는 분이 없었다.  심화된   젠트리피케이션은  임대료 상승을 빠른 속도로 부추기고 있었고 “구두 부자재 거리”에서 “뚝섬공원”으로 이어지는 벨트를 중심으로 건물주들은 기존의 임대차 계약이 종료되는  시점만을  기다렸다가 구두, 가죽, 기계 관련 산업이 아닌, 더 높은  월세를  지불하고자   하는   입주자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구두 산업은 중국산 제품에는 가격 경쟁력에서 밀리고 명품 프리미엄 제품으로 승격되기에는 인식의 부족, 디자인의 부족 등...

2017 Group InsightSeeing Lecture: Map of the Senses_Maps and Placeness

○ 일시 : 2017년 10월 31일  ○ 장소: 서울시 성북구 국민대학교 예술관 116호 Q1. 인사이트씨잉 어떻게 시작되었나 ? 인사이트씨잉은 2012 년에   경기도지역에 모 작가 작업실에 친한 선후배 작가들이 모였다가 우발적으로 시작된 모임이었습니다 . 여러가지 아이디어 회의 겸 수다 떠는 모임으로 출발하였습니다 .  돌이켜보면 졸업 후 힘든 창작자로써의 생활에 대한 스트레스를 풀기 위한 목적이 컸던 것 같습니다 .   그 한해 동안 여러 프로젝트 기획안들을 작성하였고 개중에는 운좋게 1 차 심사를 통과하였지만 여러 번 2 차 면접에서 고배를 마시면서 꽤많은 미완의 프로젝트 기획서들이 축적되었습니다 .   그러다가   2012 년 가을  , 나광호 작가가 입주해 있던 경기창작센터에서 공공미술 프로젝트가 있어서 거기에 협력 팀으로 참여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프로젝트를   실행하게 되었습니다.    Q2. 작업의 주제 WHAT? 저희 팀은 ' 장소 ' 에 대한 이야기를 수집하는 프로젝트들을 수행해 왔습니다 . 특히 장소를 시각적으로 구성하는 지도라는 개념 자체에 관심이 많이 있었습니다 .   예를 들면 연인이 통화할때 주로 첫 마디는 " 어디있어 ?" 입니다 . 상당이 복잡한 뉘앙스를 풍기는 질문이지요 . 이때   ' 어디에 있다 ' 라고 대답할때 특별히 신중해야 합니다 . 이렇게 어디에 있다라는 질문은 어떤 맥락에 위치해 있느냐에 따라 상당히 다른 이야기들을 유추할 수 있게 합니다 . 장소는 단순히 독립적인 하나의 부분이 아...

2017 Preliminary research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experimental playground'

[시리아 내전 폭격 후 웅덩이에서 놀고 있는 아이들_2016] “실험놀이터” 실행을 위한 사전 연구 1. 프로젝트 개요  ○제           목 :   (가칭) “실험놀이터” 실행을 위한 사전 연구 ○기           간 :   2017.10.01 – 12.22 ○장           소 :   경기도 oo군 일대 ○사업     내용 :   지역 기반 리서치 연구, 책자 발간, 시뮬레이션 모형 제작, 전시  ○주관 및 후원 :   oooo재단 oo문화사업단 ○기획 및 실행 :   최형욱(시각예술가, 예술교육가) 2. 기획의도 놀이를 잃어버린 사회 ‘논다’는 행위는 “개인이 자신이 처한 환경에 적응을 도모”하는 가장 기본적인 문화적 활동입니다. 놀이는 다양한 경험을 하고 배우며 가능성을 시험해 보는 행위입니다. 사실 아이들만 노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서 자기 주도적으로 창조적인 일을 하는 어른들도 기본적으로 이러한 행위를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쟁 후 사회가 복원되는 시기 환경은 지금보다 훨씬 열악했지만 지금의 어른들에게는 느슨한 공간과 시간이 있었습니다. 스스로 조직하고 만들고 탐험하는 행위를 통해서 아이들은 아무것도 기댈 것 없는 사회에서 자신의 삶을 일구고 사회적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그러한 어른들이 보기에 스스로 놀이를 조직하고 자연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아이들을 보며 ‘요즘 아이들은 놀 줄 모른다’라고 말합니다.  그런데 관점을 약간 달리해 보면 모든 세대의 아이들은 언제나 놀기를 열망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아이들의 욕망을 제거한 건 아이러니하게도 어른들입니다. 도시의 장소는 ...

# What is the Adventure playground : in the context of Bindoong play

유엔 아동권리협약  31조 | 여가와 놀이 | 우리는 충분히 쉬고 놀 권리가 있습니다.  모험놀이터는 기존의 고정된 놀이터와 달리 일견 무질서해 보이지만 아이들이 스스로 상상력과 한계를 실험해보며 진짜 놀이를 만들 수 있는 장소를 의미합니다. 기존의 도시 공원녹지과에서 관리되는 놀이터들은 제도 아래 일정한 행위들을 제한하고 있지만, 모험놀이터는 플레이워커의 보호와 지원 아래 틀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놀이가 가능한 곳입니다. ○ 모험놀이터(Adventure playground)의 간략한 역사  2차 세계대전 중에 유럽의 폭격지에서 아이들이 노는 모습을 보고 영감을 받은 덴마크 건축가 쇠렌센(Carl Theodor Sørensen)은 코펜하겐의 교외에 폐자재를 방치해 놓은 엔드럽(Emdrup) 폐자재 놀이터를 개설하였습니다. 조경가이자 첫 번째 ‘플레이리더(play leader)’라고 할 수 있는 존 베텔센(John Bertelsen)은 단순히 안전 관리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의 경험과 기술을 지원해 더욱 폭넓고 다양한 방식으로 아이들의 제안들을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영국의 알렌(Allen)여사는 이 놀이터를 방문한 뒤 크게 감명을 받고 돌아왔습니다. 그 후 영국의 도심 곳곳의 폐허에 모험놀이터를 설립하자는 운동을 하였습니다. 1950-70년대 사이에 점차 스웨덴, 스위스, 프랑스 등 유럽국가 곳곳으로 모험놀이터 만들기가 확산되었습니다. 일본에서는 오무라겐이치, 아키코 부부가 1973년 알렌 부인의 책을 번역하면서 지역 부모들과 단기 놀이 프로젝트들을 진행하였습니다. 1979년 세타가야 구 ‘국제아동의 해’ 기념사업으로 민관 협동사업으로 일본 최초의 모험놀이터 ‘하네기...

2025 Dancing Flow of Microorganisms

1. Purpose I am writing to seek the understanding and support of the Rijksakademie community regarding my upcoming artistic research project. My goal is to present my work transparently and clearly to prevent any discomfort or misunderstanding. I sincerely appreciate your consideration and support in this matter. 2. Project Overview Title: Dancing Flow of Microorganisms This project is an experimental exploration of permaculture and ecological cycles. Specifically, I propose to construct a small treehouse at the southwestern edge of the Rijksakademie garden. This structure will function as a composting toilet, integrating a sustainable waste recycling system. The project aims to collect organic waste—including human waste from the Rijksakademie community, garden byproducts, food scraps, paper waste, and sawdust—and process it into nutrient-rich compost. Once the construction is complete, I will oversee the collection and composting process until the end of 2026, carefully managing the ...